• 최종편집 2024-06-01(토)
 

우리나라 국민의 2020년(’19. 8. 1.~’20. 7. 31.) 하루 평균 여가시간은 평일 3.7시간, 휴일 5.6시간(주평균 29.7시간)으로 전년 대비 각각 0.2시간(12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여가 비용은 전년과 동일한 15만 6천 원이었다. 이는 국민들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여가 비용(20만 3천 원)보다는 월평균 4만 7천 원 적은 금액이다.


2.png
하루 평균 여가시간 및 월평균 여가비용 추이 자료=문체부 제공

 

유형별(8개)로 살펴보면 가장 많이 참여한 여가활동은 ‘휴식활동’(90.5%), ‘취미오락활동’(84.7%), ‘사회 및 기타 활동’(61.2%), ‘스포츠 참여 활동’(28.8%) 순으로 나타났으며 ‘스포츠 참여 활동’은 모든 연령대에서 증가했다. 


세부 여가활동(88개)으로는 ‘텔레비전 시청’(67.6%)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이는 매년 감소하는 추세이다. 


‘산책 및 걷기’가 ’19년 4위(32.1%)에서 ’20년 2위(41.3%)로 상승했고, ‘모바일 콘텐츠, 동영상, 다시보기(VOD) 시청’도 ’19년 7위(20.8%)에서 ‘20년 5위(32.6%)로 증가했다.


또한 가장 만족한 여가활동은 ‘산책 및 걷기’로 전년 대비 5.6%포인트 증가한 23.5%로 조사되었다. 혼자서 하는 여가활동은 ’19년 54.3%에서 ’20년 60.0%로 증가했고 가족이나 친구 등과 함께하는 비율은 ’19년 45.7%에서 ’20년 40.0%로 감소했다. 


혼자서 가장 많이 하는 여가활동으로는 ‘텔레비전 시청’(27.5%)’, ‘인터넷 검색/1인 미디어 제작/누리소통망(SNS)’(14.6%), ‘모바일 콘텐츠, 동영상, 다시보기(VOD) 시청’(10.8%) 등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가족이나 친구 등과 하는 여가활동은 주로 ‘텔레비전 시청’(52.8%)’, ‘산책 및 걷기’(6.7%)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들이 많이 이용한 여가 공간으로는 ‘식당’(38.0%), ‘아파트 내(집주변)공터’(28.8%), ‘카페’(25.6%), ‘생활권 공원’(24.6%) 순으로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생활권 내 공간으로 나타났다. 


이용하고 싶은 여가 공간에 대한 조사에서도 ‘식당’(19.8%), ‘카페’(16.1), ‘산’(16.1%), ‘생활권 공원’(14.1%) 등 생활권 내 공간의 비율이 증가했다. 


‘삼림욕장’, ‘역사/문화유적지’, ‘캠핑장’, ‘공연장’은 실제 이용한 여가 공간 상위 10개에는 없었으나 이용하기를 희망하는 공간에는 포함되었다.


문화시설 이용은 전반적으로 감소했다. 국민들은 도서관, 박물관, 전시관 순으로 많이 이용했으며, 공연장과 생활문화센터 이용은 크게 감소했다. 


가장 많은 국민들이 이용하기를 희망하는 문화시설은 공연장이었으며 그 다음은 도서관, 박물관 순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여가생활 만족도는 52.5%로 2019년보다 4.0%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20대의 여가생활 만족도가 63.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50대가 48.3%로 가장 낮았다. 


여가활동 불만족 이유는 시간 부족과 경제적 부담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경제적 부담은 ’19년 28.9%에서 ’20년 31.4%로 증가했다. 


또한 대도시(57.2%)와 읍면지역(44.7%)의 지역별 격차가 ’19년 7%포인트에서 ’20년 12.5%포인트로 5.5%포인트 증가했다.

태그

전체댓글 0

  • 64866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우리 국민 하루 평균 여가 시간 전년 대비 약 12분 증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