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7(금)
 

지난 1년간(‘19. 8. 1.~’20. 7. 31.) 국민들의 문화예술행사 관람률은 60.5%로 전년 대비 21.3%포인트 감소했으며 문화예술행사 관람횟수도 3.1회로 전년대비 3.2회 감소해 2014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4.png
매체를 이용한 문화예술행사 관람횟수

 

문화예술 관련 1인당 월평균 지출금액은 20,998원으로 전년 대비 1,572원 증가했으며 영화와 문학, 대중음악 부문에서 지출이 높고, 그 금액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한편, 지난 1년간 매체를 이용한 문화예술행사 관람횟수는 약 25.6회로 전년 대비 2.6회 증가했다.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이용 관람 경험 역시 38.8%로 전년 대비 11.4%포인트 증가했다.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이용 관람 경험은 모든 연령대에서 증가했으며 특히 50대 이상 연령층에서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다.


5.png
온라인 동영상 제공 서비스(OTT) 이용 관람 경험

 

문화예술행사 참여는 주로 가족, 친구 등과 함께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19년 87.7%에서 20년 79.0%로 감소했다. 반면 혼자 하는 경우는 21.0%로 전년 대비 8.7%포인트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가구소득별 조사에서는 전년 대비 모든 가구의 관람률이 감소했으며 저소득 가구의 경우 관람률의 감소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최고 소득(600만 원 이상)과 최저 소득(100만 원 미만)의 문화예술관람률 격차는 2016년 58.6%포인트, 2018년 49.4%포인트, 2019년 40.8%포인트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2020년에는 50.6%로 다시 증가했다.


지역 규모별로 살펴보면 읍‧면지역의 문화예술 관람률(46.5%)이 도시지역(63.5%)보다 낮으며, 전년 대비 큰 폭으로 감소했다. 


대도시와 읍면 지역의 문화예술 관람률 격차는 2016년 15.5%, 2018년 13.5%, 2019년 12.7%로 지속적으로 감소해 왔는데 2020년에는 17.0%로 격차가 다시 증가했다.


연령별로 보면 모든 연령대에서 전년 대비 관람률이 감소했으며 특히, 50대 이후 문화예술행사 관람률 하락 폭이 더욱 크고 20대와 70세 이상 간 연령별 관람률 격차가 ’19년 47.5%에서 ‘20년 63.8%로 작년 대비 16.3%포인트 증가했다.


문체부는 이번 조사결과를 통해 나타난 국민의 문화여가생활의 변화에 대응해 생활문화센터(’19년 46개소→ ’20년 153개소 → ’21년 204개소), 공공도서관 건립(’19년 123개소→ ’20년 190개소-> ‘21년 160개소) 지원을 확대해 일상에서 여가문화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을 확충한다.


또한 ’21년에는 ‘통합문화이용권(문화누리카드)’ 지원 금액을 10만 원으로 1만 원 인상하고, 지원 인원도 ’20년 171만 명에서 177만 명으로 확대한다. 


특히 수급 요건에 변동이 없는 기존 수혜자의 경우 별도 신청 없이 통합문화이용권을 기존에 이용하는 카드에 충전해 주는 ‘자동 재충전’을 처음으로 실시한다. 


  아울러 문체부는 문화여가활동이 개인화되고 비대면화되는 추세에 발맞추어 ’18년 134개였던 통합문화이용권 온라인 가맹점 수를 ‘20년 11월 기준 756개로 확대했다. 


인터넷 이용 등이 곤란한 농산어촌 고령층에게는 전화결제 상품 안내지를 배포하고 전화 문화활동을 지원하는 등 맞춤형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21년에도 온라인 가맹점을 지속 확대하고, 전화 문화활동과 문화꾸러미 지원 등 맞춤형 서비스도 더욱 확대해 통합문화이용권에 대한 국민 체감을 높일 예정이다.

태그

전체댓글 0

  • 67979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문화예술 관람은 감소, 비대면 문화예술향유 증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