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밑 한파로 인해 이틀 연속 영하의 날씨가 이어지고 있다.
한파가 지속되면 동상,저체온증과 같은 사람에게 나타나는 한랭질환 뿐만 아니라 수도관 동파, 농작물 냉해 등 다양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한파가 기승을 부렸던 지난 2017년 겨울 동안 한랭질환자 631명, 사망자 11명, 농작물 피해 6,038ha, 계량기 동파 55,533건 등 많은 피해가 발생했다.
올겨울을 보다 안전하게 보내고 한파로 인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기상청에서는 ‘한파 영향예보’를 제공하고 있다. 기상청은 추위에 약한 어린이, 노약자, 심뇌혈관 질환자 등은 건강관리에 더욱 유의하기, 옥외 작업을 할 때에는 추운 시간대를 휴식 시간으로 배정하기, 수도 계량기, 수도관이 동파하면 지역 상하수도 사업소에 연락하여 조치하기, 봄철 저온 피해 예방을 위해 차가운 공기가 한 곳에 머물지 않도록 방상팬을 가동하기, 양식장 보온 시설과 장비 점검·보강하고, 양식생물의 질병 관리 강화하기, 보일러, 배관, 난방 기구 등을 미리 점검하고 화재에 주의하기 등 수요자별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거주하는 지역 혹은 관심 있는 지역에 대한 한파 위험정도와 대응요령을 궁금해하는 반면 방재유관기관에서는 관할 지역 내의 모든 분야에 대한 위험 수준과 대응요령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국민과 방재유관기관이 원하는 정보가 다르므로 2개의 수요자별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해당 정보는 기상청 홈페이지 ‘날씨누리’를 통해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으며, 방재유관기관은 ‘방재기상정보시스템’을 통해 한파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한파 영향예보는 보건 분야가 관심단계 이상이 예상될 때 전날 오전 11시 30분에 발표한다.
BEST 뉴스
-
UAM 도입 앞둔 인천, 국가중요시설 간 드론 대응 수준 ‘불균형’
도심항공교통(UAM) 도입과 드론 물류 확대를 앞두고, 공항·항만·발전소·가스 시설 등 국가 주요 기반시설이 밀집한 인천 지역에서 불법 드론 대응 체계가 시설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허종식 의원 사진=의원실 제공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 -
[단독] 삼양 ‘1963 라면’, 정통성 복원 외쳤지만… 팜유·우지 혼합 ‘골든블렌드’ 논란
삼양식품이 브랜드 탄생 61주년을 맞아 '정통성 복원'을 내세우며 출시한 신제품 ‘삼양라면 1963’이 출시 직후 예상치 못한 논란에 마주쳤다. 김정수 부회장이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열린 삼양식품 신제품 출시 발표회에서 우지 유탕으로 만든 삼양 1963을 소개하고 있다.... -
이디야커피, 보이넥스트도어 협업 음료 출시 직후 품절 행렬
이디야커피가 보이그룹 ‘보이넥스트도어’와 협업해 선보인 콜라보레이션 음료가 출시 직후 높은 관심을 얻고 있다. 이미지=이디야커피 제공 이디야커피는 지난 28일 협업 음료 2종을 출시했다. 일부 매장에서는 개점 직후 음료 구매를 위한 이른 방문이 이어졌고, 음료 구매 시... -
[단독] 대웅제약 ‘에너씨슬 집중샷’, 수험생 불안 팔아 공격적 마케팅…과연?
2026학년도 수능을 앞두고 포털 검색창에 ‘수험생 영양제’를 입력하면 가장 먼저 등장하는 제품은 대웅제약의 ‘에너씨슬 집중샷’이다. 네이버와 쿠팡, 올리브영 등 주요 플랫폼 상단을 장악한 이 제품은 “몰입력 UP 수험생 필수템”, “1등급 학생들이 함께한 집중 루틴”, “4,000,000포 판매 돌파”라는 자극적인 문구로 학... -
수능 앞두고 제약사 ‘컨디션 마케팅’ 과열…전문가 “부작용·과대광고 주의”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앞두고 제약사들이 수험생을 겨냥한 제품 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집중력 강화’, ‘불안 완화’, ‘면역력 회복’ 등 자극적인 문구를 내세운 건강기능식품과 일반의약품이 잇달아 등장하면서 시장은 들썩이지만, 전문가들은 “과도한 마케팅이 오히려 수험생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며 경... -
위조 서류로 장관상 받았는데… 문체부, 3년 지나서야 수상 취소
위조 서류로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을 받은 ‘젊은 건축가상’ 수상자에 대한 조치가 3년 만에야 이뤄진 것으로 드러났다. 수상 취소 사유가 법적으로 명백했음에도 문화체육관광부는 사실상 아무 대응도 하지 않은 채 시간을 끌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진=연합뉴스 조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