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11(화)
 

대체에너지는 미래 시대를 여는 신성장 사업으로 OECD 국가들은 신규 발전설비의 70%를 재생에너지로 대체할 정도로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다양한 대체에너지 중에서도 유력한 신성장 동력으로 떠오른 해상 풍력이 과연 국내에서 성공할수 있을까? 해상풍력 노하우를 갖춘 유럽의 전문가들 의견은 일단 '사업 전망이 매우 밝다'이다. 유럽 해상 풍력 기업의 노하우와 국내의 철강 조선 케이블 공급망 역량이 매칭해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걸렸다.

 

28일 2021 P4G 서울 정상회의 부대 행사에서 야콥 라스무센 주한덴마크대사관 에너지 참사관은 "한국의 해상 풍력 산업이 아직 초기 발전 단계에 있지만, 기존 철강·조선·케이블 공급망 역량이 강하므로 산업 전망이 매우 밝다"고 분석했다. 

 

1539755130_20210531182033_2599093114.jpg
밀레니엄힐튼 서울에서 열린 2021 P4G 서울 정상회의 부대 행사에서 야콥 라스무센 주한덴마크대사관 에너지 참사관이 국내 해상 풍력 발전 가속을 위한 균등화 발전 원가(LCOE)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주한네덜란드대사관 제공


다만 새로운 산업 분야를 효과적으로 개발하고 특히 우리 정부 목표인 2030년까지 총 설비 용량 12GW의 해상 풍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책을 통한 제도 개선 및 해상 풍력 산업으로의 공급망 역량 적용 등과 같은 과제를 극복해야 할 것으로 보았다. 연구는 외국 해상 풍력 기업들과의 협업을 한국이 산업 발전 속도를 큰 폭으로 올리고, 개발 비용을 줄일 가장 효율적 방안으로 꼽았다.


국내기업이 시장에 대한 통찰과 높은 품질의 공급망을 제공하면 외국기업이 그간 선진시장에서 쌓은 경험과 기술력을 제공해 부족한 역량을 보완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특히 오랜 해상 풍력 노하우를 지닌 유럽기업들과 협업 시 글로벌 지원 체계가 갖춰지고 이들의 역량을 활용할 수 있어 우리나라가 짧은 시간에 세계적 수준의 경쟁력을 갖추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번 연구는 해외기업들과 협업 시 국내 일자리 창출 효과가 제한되는지 여부에도 초점을 맞췄다.

 

3554238800_20210225171109_9022084737.jpg
서남해 해상풍력 1단계 실증사업(2018년)에 대한전선의 케이블이 시공되고 있다. 사진=대한전선

 

연구는 프로젝트가 국내 기업으로만 진행되는 경우와 해외기업들과의 협업으로 진행되는 경우, 총 두가지 시나리오를 가정해 예상 일자리 창출 효과를 비교했다. 그 결과 국내기업으로 한정된 프로젝트가 일자리 창출 효과가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됐으나, 현실적으로는 제한된 공급망으로 100% 국산화를 목표로 할 경우 실현 가능한 해상 풍력 프로젝트가 많지 않을 것으로 분석했다.


하지만 외국기업과 협업 시 공급망 제한이 없어 설치 용량을 빠르게 늘리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트레이닝 및 기술·지식 이전을 통해 국내 전문가 육성과 인력 확대로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0004621879_001_20211028154201512.jpg
해상풍력발전단지 조감도(이미지출처=울산시 제공)

 

한편 국내 해상풍력 현황은 어떨까. 현재 국내에는 울산과 새만금에 대규모 해상 풍력 단지가 계획중이다. 울산시는 2030년까지 36조원을 들여 동해가스전 일대에 원자력발전소 6기와 맞먹는 6GW 규모의 부유식 해상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한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송철호 울산광역시장은 “동해가스전 인근은 평균 초속 8m 이상의 우수한 풍황과 넓은 대륙붕을 갖추고 있어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 입지로는 최적”이라며 “풍력사업을 통해 21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강조한 바 있다.

 


3554238800_20200713095445_7115019757.jpg
100MW급의 새만금 해상풍력 건설사업 조감도 이미지=한미글로벌

 

국내 최대 대체에너지 발전단지로 꼽히는 새만금 일대의 새만금 해상풍력 건설사업은 새만금청이 진행하는 국내 최대 2.6GW 규모의 해상풍력에너지 조성사업으로 평가 받고 있다. 정부 주도의 2018년 새만금 해상풍력에너지 비전 선포 내용에 포함된 사업이다. 


새만금 해상풍력 건설사업은 100MW급 발전설비로 새만금 일대 4호 방조제 내측에 들어설 예정이며 공사가 완료되면 6만5000세대가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을 공급하여 전력수급 안정화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관련 융합 기술 실증 및 연구 개발과 연계한 전라북도 일자리 창출과 신재생에너지 산업 육성에 큰 획을 긋게 될 전망이다.

 

 

하지만 국내 에너지 관련 학계의 일부 전문가들은 국내 해상풍력 사업 진행에 있어 무조건 '장미빛 낙관론'은 조심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국내 날씨가 해상풍력을 많이 활용하는 유럽과 다른 면이 많다는 것은 첫번째 고민거리이며 해상에도 바람이 없는 날이 길어지면 발전량은 대폭이 감소할 것을 감안해야 한다는 지적인 것이다. 


여기에 원전의 사용연한 대비 1/3밖에 안되는 짧은 사용연한과 건설비용도 해상풍력 사업이 반드시 풀어야 할 숙제인 셈이다.  

전체댓글 0

  • 47353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국내 해상풍력발전산업 전망 '맑음'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