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1(토)
 

지난 2021년 혼인건수가 19만3천건으로 1970년 통계 이래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2016년부터 5년 간 혼인건수가 20만건대를 유지했지만, 19만건으로 내려 앉은 건 처음이다. 

 

예견된 인구감소와 더불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코로나19 여파로 하늘길이 막히면서 외국인과의 혼인도 급감했다는 통계도 눈에 띈다.


fdswr.jpg
사진=픽사베이 제공

통계청이 17일 발표한 ‘2021년 혼인·이혼 통계’자 료에 따르면 작년 혼인건수는 19만 3000건으로 전년대비 9.8%(2만1000건) 감소했다. 1000명당 혼인건수를 의미하는 조(粗)혼인율도 3.8건으로 전년대비 0.4건 줄어 들었다.


연령별 혼인건수는 전년 대비 남자는 30대 초반(10.3%), 여자는 20대 후반(14.4%)에서 가장 많이 감소했다. 연령별 혼인율을 보면 남자는 30대 초반이 약 42건, 여자는 30대 초반이 41건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평균초혼연령은 남자 33세였으며, 여자 31세로 전년대비 남자는 0.1세 상승, 여자는 0.3세 상승했다. 10년 전에 비해 남자는 1.5세, 여자는 2세 각각 상승했다.

fds.jpg
조(粗)혼인율(인구 1천 명당 혼인건수)은 3.8건으로 전년대비 0.4건 감소했다. 자료=통계청 제공

남자의 경우 전체 혼인 중 초혼이 84%, 재혼이 16%의 비중을 차지했다. 전년대비 초혼은 11%, 재혼은 6.6% 각각 감소했다. 여자는 전체 혼인 중 초혼이 81%, 재혼이 18%이었다. 초혼은 11%, 재혼은 6.5% 각각 줄었다.


혼인건수 감소 속도가 점차 빨라지고 있는 추세도 불안하다. 1997년~2015년까지 혼인건수가 30만건에서 20만건으로 줄어드는데 19년이 걸린 반면 혼인건수가 20만건에서 10만건까지 오는데 걸린 시간은 5년(2016년~2020년)이었다. 


혼인건수가 줄면서 이혼건수도 비례적으로 줄어들었다. 2021년 이혼은 10만2000건으로 전년보다 4.5% 감소했다.


fdsw.jpg
조(粗)이혼율(인구 1천 명당 이혼건수)은 2.0건으로 전년대비 0.1건 감소했다. 자료=통계청 제공

통계청 관계자는 “인구 감소와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결혼지연, 결혼에 대한 의식 변화 등으로 혼인과 이혼건수가 줄고 있다”며 “지난해의 경우, 혼인 건수가 통계 작성 5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게 됐다”고 했다.


한편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외국인 혼인건수도 급감했다. 지난해 외국인과의 혼인은 1만 3000건으로 전년대비 14.6% 감소했다. 외국인 여자와의 혼인은 9000건으로 전년대비 19.1% 급감했다. 외국인 남자와의 혼인은 4000건으로 전년대비 2.9% 감소했다. 


외국인 아내 국적은 중국(27.0%), 태국(17.7%), 베트남(14.7%) 순이며, 외국인 남편 국적은 미국(31.0%), 중국(18.9%), 베트남(10.7%) 순이었다.

전체댓글 0

  • 14454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지난해 결혼 19만건 역대 최저… 전년대비 9.8% 감소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