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5-02(목)
 

터키의 물가상승률이 미쳤다. 지난 3월 터키의 소비자물가지수(CPI)는 61.1% 증가했다. 실제 터키의 이스탄불 체감 증가율은 142.6%로 추정된다고 전해졌다. 


Screenshot 2022-04-18 at 08.12.03.jpg
공과금 영수증을 보여주며 물가인상에 항의하는 터키 이스탄불 시민.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공급망 혼란에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전 세계 물가가 급등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의 물가상승률이 31년여 만에 최고치로 기록했다. 


17일 OECD 최신 통계에 따르면 OECD 38개 회원국의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7.7%로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으로 시작된 걸프전 직전인 1990년 12월 이후 31년 2개월 만에 최고치다. 터키가 54.5%로 가장 높았고 리투아니아(14.2%), 에스토니아(12.0%), 체코(11.1%) 등 순이다. 


OECD 회원국의 에너지 가격은 26.6% 폭등했고 식품 가격은 8.6% 올랐다. 폴란드를 제외한 37개 OECD 회원국들은 전월보다 물가가 가파르게 올랐다. 


Screenshot 2022-04-18 at 07.53.12.jpg
자료=OECD. 그래픽=연합뉴스

물가상승률이 54.5%로 OECD에서 가장 높았던 터키는 1개월 만에 5.7%포인트 급등했다. 그 뒤를 이어 리투아니아(14.2%), 에스토니아(12.0%), 체코(11.1%) 순이다. 한국은 2월 물가 상승률이 3.7%로 OECD 38개국 가운데 32번째로 높았다. 일본은 0.9% 상승에 그쳤다. 


주요 7개국(G7)의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6.3%로 나타났다. 인플레이션이 40년 만에 최고치에 달한 미국(7.9%)을 필두로 이탈리아, 영국, 캐나다, 독일도 5%를 넘어섰다. 


가장 심각한 물가상승률을 보인 터키의 경우 코로나19 사태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에너지, 곡물 가격 급등이 물가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만성적인 고물가에 시달려온 터키는 특히 올해 1월 최저임금을 50% 올리고 가스·전기·도로 통행료·버스 요금 등을 줄줄이 인상한 바 있다. 터키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도 물가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은 일반적인 경제 논리와 달리, 고금리가 고물가를 유발한다고 주장하며 공개적으로 중앙은행에 금리 인하를 요구해왔다. 에르도안 대통령은 자신의 주장을 거부했다는 이유로 중앙은행 총재를 여러 차례 경질하기도 했다.


이에 중앙은행은 지난해 9월부터 기준금리를 인하해 19%이던 기준금리를 14%로 낮췄다. 기준금리 인하로 터키 리라화 가치가 폭락, 물가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달러 대비 리라화 가치는 지난해 초와 비교할 때 약 45% 하락했다. 지난해 12월에는 1달러당 17.75리라까지 떨어지며 사상 최저치를 경신했다.


터키와는 달리 OECD의 다른 나라는 고공행진을 하는 물가를 잡기 위해 기준금리를 올리고 있다. 캐나다, 뉴질랜드가 최근 나란히 20여 년 만에 처음으로 0.5%포인트의 대폭 금리 인상을 단행했고, 미국도 오는 5월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보인다. 

전체댓글 0

  • 40401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터키의 미친 물가상승률 54.4%...한국 3.7%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