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오미크론 변이 지배종化…국내 첫 ‘스텔스 오미크론’ 6명 감염

  • 김세민 기자
  • 입력 2022.02.01 00:01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검출률이 일주일 사이에 50.3%에서 80%로 확대했다.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을 넘어 지배종으로 자리잡았다.


omicron.jpg
이미지출처=픽사베이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전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31일 1월 4주차 오미크론 검출률이 80.5%로 3주차 50.3%에서 29.7%포인트 높아졌다고 밝혔다.


12월 5주차에 4.0%에 불과했던 국내 오미크론 검출률은 3주차에 처음 50%를 넘어 우세종이 된 후, 일주일 만에 80%를 넘으면서 지배종이 됐다. 지역별로는 경북과 호남이 90%를 넘었다. 경북권은 93.2%, 호남권은 91.4%의 검출률을 기록했다. 충청권이 80.8%로 뒤를 이었고, 강원권 79.4%, 경남권 77.9%, 수도권 72.1%, 제주권 56.3%를 각각 기록하면서 전국적으로 지배종이 되어 가고 있다.


해외유입 사례도 대부분 오미크론형 변이다. 지난 29일 0시 기준으로 해외유입 사례의 95.8%인 1천856명의 확진자는 오미크론 변이로 파악됐다.


확진자가 급증한데 비해 위중증률과 치명률은 각각 0.42%, 0.15%를 기록했다. 방대본은 "국내 오미크론 검출률은 5주만에 80%를 돌파하여 우세화 양상이 됐으나, 위중증률 및 치명률은 델타 대비 뚜렷하게 낮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수치상으로 보면 오미크론 변이가 감염률은 높지만, 증상이 약하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다.


4주차 때 오미크론 위중증 환자는 국내발생 9명, 해외유입 2명으로 총 11명이었는데, 5주차 들어서는 국내발생 32명, 해외유입 3명 등 35명으로 24명 증가했다.


오미크론 감염으로 사망한 사례는 4주차 때는 국내발생 5명, 해외유입 1명 등 6명이었는데, 5주차에는 국내발생 11명, 해외유입 1명 등 12명으로 6명 늘었다.

covid-19-g8b0ee3b85_640.jpg
이미지출처=픽사베이

한편 전파력이 오미크론보다 높다는 '스텔스 오미크론'이 국내에서도 처음 6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방대본은 앞서 해외입국 확진자 중 4.5%가 스텔스 오미크론 변이 감염으로 확인됐다고 발표했는데, 최근 국내에서도 6명이 스텔스 오미크론에 감염됐다고 밝혔다.


스텔스 오미크론은 기존 PCR(유전자증폭) 검사에서 다른 변이종과 잘 구별되지 않아 붙여진 이름이다. 스텔스 오미크론'으로 불리는 'BA.2'는 최근 덴마크, 영국, 인도 등에서 증가 추세에 있는 오미크론 변이의 세부계통으로 방대본은 "현재까지 기존 오미크론과 다른 특성 정보는 확인된 바 없으며 지속해서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해외에서 유입된 스텔스 오미크론은 인도(11건), 필리핀(10건), 카타르(2건), 말라위(1건), 브라질(1건)로부터 유입된 것으로 파악됐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동서식품 ‘맥심골목’, ‘광고주가 뽑은 올해의 마케터상’ 수상
  • UAM 도입 앞둔 인천, 국가중요시설 간 드론 대응 수준 ‘불균형’
  • 국립등대박물관 안내 앱, 개발비 수억 들었지만 이용은 미미
  • 이디야커피, 보이넥스트도어 협업 음료 출시 직후 품절 행렬
  • 한국전력기술, 협력사와 함께하는 ‘2025 품질의 날’ 개최
  • 거리에서 무대로… ‘청춘마이크’ 10년 여정 기록
  • 영국과 미국 헤리티지의 만남… 바버, 리바이스와 협업 컬렉션 출시
  • 국민연금 책임투자 자산 중 97% ‘ESG 워싱’ 논란
  • 웅진식품, ‘2025 JTBC 서울마라톤’ 공식 음료로 참여
  • 신상정보 등록 성범죄자 202명 소재불명… 120명은 1년 넘게 미검거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오미크론 변이 지배종化…국내 첫 ‘스텔스 오미크론’ 6명 감염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