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확진자 폭증했는데 재감염은 감소?' 재조사 나선 질병관리청

  • 류근석 기자
  • 입력 2022.04.06 15:04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오미크론 변이 유행으로 누적확진자 수는 1천4백만명을 넘어섰다. 누적확진자 중 약 94%는 올해 들어 발생한 확진자다. 확진자 수가 많아진 만큼 재감염도 증가했을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오미크론 변이 재감염 비율이 델타 변이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질병관리청은 재조사에 나섰다.  


2022-04-06 at 15.04.03.jpg
6일 오전 서울역 임시 선별검사소에서 관계자가 코로나19 검사를 준비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질병관리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감염 추정 사례에 대해 재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6일 밝혔다.


코로나19 재감염 사례 재조사는 1차적으로 자료 전처리가 가능한 약 900만명의 확진자를 대상으로 작업을 진행 중이며, 예비적 결과를 검토한 뒤 조사 대상을 단계적으로 확대, 동일한 방식으로 조사할 것으로 보인다. 


2022-04-06 at 15.04.17.jpg
자료=질병관리청

질병청은 지난달 16일 기준 국내에서 코로나19 완치 판정을 받은 뒤 다시 감염된 재감염 추정 사례를 총 290명이라고 발표했다. 290명 가운데 오미크론 유행 시기(2022.1.1∼3.16)에 확인된 재감염 추정 사례가 129명이다. 이는 해당 시기 코로나19 확진자(699만8천439명)의 0.002%에 해당한다. 지난해 하반기 델타 변이 유행 시기에 재감염된 사례는 159명으로 당시 확진자 47만3천863명의 0.034%를 차지했는데 이와 비교하면 오미크론 재감염 비율이 크게 떨어진다.


질병청은 최초 확진일 90일 이후 PCR(유전자증폭) 검사에서 양성이 확인된 경우를 재감염 추정 사례로 분류하고 있다. 또 최초 확진일로부터 45∼89일 뒤 PCR 검사 결과가 양성이면서 증상이 있거나 확진자와 접촉한 경우, 또는 해외 여행력이 있는 경우에도 재감염 추정 사례로 포함한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UAM 도입 앞둔 인천, 국가중요시설 간 드론 대응 수준 ‘불균형’
  • 국립등대박물관 안내 앱, 개발비 수억 들었지만 이용은 미미
  • 이디야커피, 보이넥스트도어 협업 음료 출시 직후 품절 행렬
  • 한국전력기술, 협력사와 함께하는 ‘2025 품질의 날’ 개최
  • 거리에서 무대로… ‘청춘마이크’ 10년 여정 기록
  • 영국과 미국 헤리티지의 만남… 바버, 리바이스와 협업 컬렉션 출시
  • 국민연금 책임투자 자산 중 97% ‘ESG 워싱’ 논란
  • 웅진식품, ‘2025 JTBC 서울마라톤’ 공식 음료로 참여
  • 신상정보 등록 성범죄자 202명 소재불명… 120명은 1년 넘게 미검거
  • ‘유령 인력’ 된 외국인 요양보호사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확진자 폭증했는데 재감염은 감소?' 재조사 나선 질병관리청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