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17(월)
 

지난 5일 통계청은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해 6월에 비해 6.0% 올랐다고 발표했다. IMF 외환위기 때였던 1998년 11월(6.8%) 이후 23년 7개월 만에 가장 높게 상승했다. 외환위기 당시 환율이 급등하면서 원자재 중심으로 수입 비용이 증가했는데 당시 수준으로 물가도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Screenshot 2022-07-06 at 09.29.54.JPG
서울 시내의 한 주유소 모습(왼쪽)과 대형마트에서 판매되고 있는 감자. 사진=연합뉴스

 

경유와 감자 등은 1년 전보다 30% 넘게 상승했다. 외식 물가는 30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통계청이 5일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경유는 지난해 동기대비 50.7% 상승했다. 상승률은 2008년 7월(51.2%) 이후 가장 높다.


등유는 72.1%나 올랐다. 다른 석유류인 휘발유(31.4%), 자동차용 LPG(29.1%) 등도 급등세를 보였다.


석유류 가격이 오른 이유는 국제 유가때문이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전쟁 장기화로 국내 석유가격은 최고가를 갈아치우고 있다.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휘발유와 경유 등 석유류는 6월 말까지 최근 8주 연속 상승했다. 


Screenshot 2022-07-06 at 09.31.07.JPG
자료=통계청/그래픽=연합뉴스

 

세계적인 공급망 차질로 인해 농축수산물 가격도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지난달 농축수산물은 1년 전보다 4.8% 상승해 5월 상승률(4.2%)보다 더 큰 폭으로 올랐다. 품목별로 보면 감자(37.8%), 배추(35.5%), 포도(31.4%). 수입 쇠고기(27.2%), 수박(22.2%), 닭고기(20.1%), 돼지고기(18.6%) 등이다.


물가 오름세는 하반기에 더 크게 나타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한국은행은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석유류·가공식품·외식 물가 오름폭 확대로 5월(5.4%)보다 높아지고, 하반기에도 원유·곡물 등을 중심으로 해외 공급요인 영향이 이어져 상반기보다 오름폭이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6.0% 가운데 석유류와 농축산물, 외식물가의 물가 상승 기여도가 커졌다. 외식 물가는 1년 전보다 8.0% 올라 1992년 10월(8.8%) 이후 약 30년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Screenshot 2022-07-06 at 09.36.22.JPG
서울 중구 명동의 한 식당 배너. 사진=연합뉴스

 

외식 물가의 세부 품목별로 따져보면 갈비탕(12.1%), 자장면(11.5%), 치킨(11.0%), 김밥(10.6%), 생선회(10.4%) 등이 10% 넘게 올랐다.


외식물가 상승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 거리두기 전면 해제에 따라 외식 수요가 늘어나면서 원자재 가격 상승과 동반해 전체 외식 물가를 끌어올리는 것으로 분석된다. 


외식물가를 포함한 개인 서비스 물가는 1년 전보다 5.8% 올라 1998년 5월(5.9%)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개인 서비스 가격이 빠르게 올라가는 건 국제 에너지 가격과 곡물가 상승에 따른 생산비 상승효과가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전기·가스·수도 물가는 1년 전보다 9.6% 상승했다. 지난 5월 전기·가스·수도 물가 상승률은 전기요금이 4월에 오르고 가스요금이 4월과 5월 연달아 오르면서 최고를 찍었다. 7월부터 전기·도시가스 요금이 인상되기 때문에 전기·가스·수도 물가 상승폭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어운선 심의관은 "공공요금 인상은 분명 물가의 '플러스' 요인은 되지만 큰 흐름을 좌우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보긴 어렵다"고 말했다.


한국은행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리먼 사태가 일어났던 2008년의 4.7%를 넘어설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하반기에 물가상승폭이 더 커질 경우 서민들의 허리띠는 더 졸라매야 하는 상황으로 치닫게 된다. 


물가상승으로 힘겨워하고 있는 국내 경제 상황에 고금리와 고환율이라는 위기까지 겹쳤다. 물가상승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과 고금리로 인한 가계 부채 문제, 고환율로 인한 수출 둔화가 겹쳐 경제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전체댓글 0

  • 04703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외식물가 상승률, 30년만에 최고..."IMF 외환위기 때로 돌아갔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