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4차산업의 미래, 무인자율주행차 플랫폼의 진화

  • 김웅렬 기자
  • 입력 2019.12.22 13:14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국내 자율주행차량 모빌리티 서비스 개발 전문기업인 엠디이(MDE)가 최근 서울 마포구 상암동 일대에서 중국 상하이 스마트시티 연구단과 국내 취재진을 대상으로 자율주행 시연 행사를 개최했다. 
 

크기변환_사진1. 자율주행 차량 내부.jpg


엠디이는 서울 마포구 상암 SBS 프리즘타워 앞에서부터 상암 누리꿈스퀘어와 문화광장 일원 등 약 3.3㎞ 구간에서 자사 자율주행 셔틀버스(현대자동차 미니버스 쏠라티)를 운행했다. 

그동안 기존 자동차 제조사와 이동통신사 등이 자율주행차 시연 행사를 진행하긴 했지만 실제 이를 개발한 인원들이 직접 차 안에서 설명과 함께 자율주행차의 성능을 검증해보는 이색 시연 행사여서 관심을 모았다. 

차 안에는 모니터가 설치돼 주변에 다니는 차와 사람 등 다양한 사물을 인식하는 모습과 함께 실제 핸들과 브레이크, 가속 페달을 비추는 CCTV를 통해 사람의 조작 없이도 차가 멈추고 가거나 방향지시등만 사람이 직접 조작하면 알아서 차선을 바꾸거나 우회전하는 것을 경험할 수 있었다. 

엠디이는 기존 차를 자율주행차로 바꾸는 기술력을 지닌 회사로 시연 자율주행차는 9개월여에 걸쳐 제작이 진행됐다. 회사 관계자는 “전방 50∼60m, 측방은 20∼30m까지 사물을 감지할 수 있는 라이더가 장착돼 있다”며 “앞 사물과의 거리를 감지하고 시속 60㎞까지 속도를 낼 수 있다”고 소개했다. 

무엇보다 국내 자율주행차 연구 및 기술 개발에 대한 설명이 인상적이었다. 이 관계자는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다양하게 자율주행 기술 개발이 이뤄지고 있지만 단 한 차례도 사고가 난 적이 없었다”며 “하지만 더 많은 시행착오를 통해 기술을 심도 있게 개발하고 이룩하려면 사고가 자주 나는 게 더 좋다”고 했다. 특히 미국에서 자율주행차로 인한 인명 사고가 난 것에 대해 “사람이 죽거나 다쳐선 안 되겠지만 사고를 경험할수록 기술이 고도화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행사에는 중국 내 스마트도시 전문 연구기관인 상하이 푸동 스마트도시발전연구원들이 직접 엠디이의 자율주행 셔틀버스에 탑승해 진일보된 자율주행 기술력을 몸소 체험했다. 차량에 탑승한 중국 상하이 스마트시티 연구단은 “중간중간 갑작스럽게 브레이크를 밟긴 하지만, 일반 차량이 달리는 속도와 비슷했고, 주변 차량을 계속 인지하면서 달리는 점이 매우 인상적”이라고 평가했다.

앞서 엠디이는 올해 5월 해군사관학교에서 열린 ‘스마트 네이비 컨퍼런스’에서 자율주행 셔틀버스를 운행해 호평을 받았고, 자율주행 특구로 지정된 세종시·제주시 BRT 도로에서도 자율주행 실증 주행에 연달아 성공하며 그 기술력을 뽐낸 바 있다.

회사 관계자는 “앞으로도 국내에서 자율주행 사업을 확장해 나갈 뿐만 아니라 중국과의 협력을 시작으로 해외에도 우리의 기술력을 선보이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추천뉴스

  • 따뜻한동행, 필리핀 6·25 참전용사 주거 지원
  • 게임으로 웃는 우리들만의 시간
  • ‘우리형닷컴 Qi2.2 3in1 스탠드 무선충전기’ 출시
  • ‘논산 백성현 상승 vs 서산 이완섭 하락’… 충청권 지자체장 순위
  • [이상헌의 성공창업 경제학] 민생회복지원금 후광효과 지속하려면…
  • 넷마블·콩스튜디오 맞손
  • ‘복지 사각지대’ 가족돌봄아동에 손 건넨다
  • 이들이 별을 너무 따서 이제 없다네…
  • [신박사의 신박한 컨설팅] 도시재생사업, 낡은 공간을 넘어 ‘삶의 플랫폼’으로
  • 동서식품 ‘맥심골목’, ‘광고주가 뽑은 올해의 마케터상’ 수상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4차산업의 미래, 무인자율주행차 플랫폼의 진화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