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1(토)
 

지난 4일 오전 경북 울진에서 발생한 산불이 강한 바람을 타고 강원 삼척으로 북상했다가 5일 다시 남하하면서 울진읍까지 위협하고 있다. 건조한 날씨에 강품까지 불어 진화에 어려움까지 겪고 있다.


IMG_7609.jpg
울진 삼척 화재(사진출처=삼척시/행정안전부)

지난 4일 울진군 북면 두천리에 최초 발생한 산불은 밤에 북쪽인 강원 삼척으로 확산했다가 5일 바람 방향이 바뀌어 다시 남쪽으로 재확산하고 있다. 불길이 기존 산불 영향구역을 벗어나 남쪽 방향인 울진읍과 죽변면으로 번지면서 인근 마을 주민을 대상으로 대피령이 내렸다. 


울진군은 5일 14시14분 긴급재난문자를 통해 고성3리, 읍내1리, 읍내5리 산불 확산 중, 인근주민들은 근남 노음초등학교 체육관으로 대피하라고 당부했다. 불길이 울진읍 가스충전소와 주유소 인근까지 번져 위태로운 상황으로 알려졌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울진·삼척 산불로 인해 5일 오후 3시까지 주택 159채를 포함해 216개 시설이 소실됐다고 밝혔다.


IMG_7608.jpg
울진 화재(사진출처=울진군)

중대본에 따르면 산불로 인한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고, 산림 피해는 6천352ha(울진·삼척 6천66ha·강릉 286ha)로 추정했다.  산불 진화에는 산림 당국과 소방, 경찰, 군, 지자체 등의 헬기 65대와 인력 7천2명, 차량 513대가 투입됐다. 이날 오전 강릉 옥계면의 80대 여성이 대피 중 사망했다는 신고가 있었으나, 산불로 인한 인명피해 집계에는 제외됐다.


산불은 지난 4일 오전 11시 17분 울진군 북면 두천리 야산에서 발생해 강한 바람을 타고 번져 삼척까지 확산했다. 이와 별개로 이날 오전 1시 8분께 강원 강릉시 옥계면에서 발생한 산불은 동해시 망상·묵호 쪽으로 이동 중이다.


중대본에 따르면 이번 산불로 울진, 삼척, 강릉, 동해에서 6천280명이 대피했다. 임시 주거시설에는 울진군과 삼척시 736명, 강릉시 41명, 동해시 291명이 대피해 있다.


소방청은 이날 오전 5시 30분을 기해 전국 소방동원령 2호를 발령했다. 소방동원령 2호는 지난 2020년 5월 강원 고성 산불 당시 발령된 바 있다.


소방동원령은 대형 화재나 사고, 재난 등 긴급상황 발생 시 부족한 소방력을 다른 지역에서 지원하는 것이다. 소방력 동원 규모에 따라 1호(당번 소방력의 5%)·2호(10%)·3호(20%) 순으로 단계가 올라간다. 이에 따라 강원과 경북 외 다른 지역 소방본부에서 소방차 269대, 689명의 인력이 울진·삼척 산불의 진화에 투입됐다.


IMG_7610.jpg
울진삼척 화재 현장(사진=소방청/행정안전부)

울진·삼척 산불 상황과 더불어 전국의 건조·강풍 특보 발효 수준 등을 고려해 이날 전국에 화재위험경보 중 가장 높은 '심각' 단계를 발령했다.


산림과 소방당국은 산불 남하 저지와 함께 원전, 가스저장소, 송전설비, 소광리 금강소나무숲 등 보호에도 집중하고 있다.


화재 진압은 여전히 난항을 겪고 있다. 울진에는 여전히 초속 27m의 강풍이 부는 데다 짙은 연무 등으로 헬기 접근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전체댓글 0

  • 83639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울진·삼척 산불 강풍으로 남하하면서 울진읍 초비상…주민 대피령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