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5-03(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펜데믹의 종지부를 찍을 '게임체인저'로 기대를 모았던 먹는치료제(경구용 치료제)의 투약이 예상을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정부는 처방 기준을 현행 65세 이상에서 60세 이상으로 낮춰 투약 대상 확대에 나섰다.

 

Screenshot 2022-01-22 at 08.36.43.jpg
화이자의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드'(사진출처=화이자)

방역당국은 투약 기준 등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처방이 어렵지 않도록 개선할 예정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지난 21일 '코로나19 먹는치료제 투약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현행 투약 가능 연령을 65세에서 60세로 확대하고, 노인요양시설과 요양병원, 감염병 전담병원 등으로 치료제 공급기관을 늘리기로 했다. 


지난 13일 국내에 들어온 화이자 '팍스로비드'를 처방받은 확진자는 14일부터 지난 20일까지 일주일 간 총 109명에 그쳤던 것으로 파악됐다. 팍스로비드 초도물량은 2만1천명분으로 정부는 하루 1천명 이상에게 처방할 것으로 발표했으나 예상은 빗나갔다. 하루 최대 1000명으로 계산하면 1주일동안 7000명에게 투약됐어야 하는데 2%에도 못미치는 109명에 그쳤다는 것은 엄연한 실패다. 


정부가 확보한 코로나19 먹는치료제는 팍스로비드 76만2천명분, 머크앤컴퍼니(MSD)의 몰누피라비르 24만2천명분 등 총 100만4천명분이다. 


먹는 치료제 투약률이 저조한 이유는 아직 도입 초기인데다 고령층의 높은 예방 접종률 등 방역조치로 인해 투약 대상자 수가 많지 않기 때문이라고 방역당국은 해명했다.


정부의 분석대로 투약 대상자를 60세 이상으로 확대하면 수치상 약 30%정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65세 이상에서 나타났던 결과처럼 실제 30%보다 적게 처방받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의료 현장에서는 정부의 정확한 가이드라인 부재가 원인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우선 먹는 치료제와 함께 복용할 수 없는 병용금기 의약품이 많다. 또한, 신장이나 간이 좋지 않은 기저질환 환자도 투약하기 곤란하다. 


팍스로비드는 진통제 '페티딘', 항협심증제 '라놀라진', 항부정맥제 '아미오다론', 항통풍제 '콜키신' 등은 팍스로비드와 함께 먹을 수 없다. 항불안제 '세인트존스워트', 항간질제 '카르바마제핀'·'페노바르비탈'·'페니토인', 항결핵제 '리팜피신', 항암제 '아팔루타마이드' 등은 복용을 중단했더라도 팍스로비드 투약이 불가능하다.


처방을 내리는 의사 입장에서는 명확한 가이드가 없는 경우 소극적 처방을 할 수 밖에 없다. 

전체댓글 0

  • 68121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투약률 1.6% 그친 '팍스로비드' 처방 대상 60세 이상으로 확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