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25(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감염됐다가 완치된 후에도 백신을 맞아야할까? 


오미크론 변이 유행으로 국내 확진자가 폭증한 결과 코로나19에 확진됐다가 완치된 후에도 재감염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최근 거리두기 해제와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가 사라지면서 재감염에 대한 우려는 깊어지고 있다. 


Screenshot 2022-05-07 at 13.57.09.jpg
코로나19 mRNA 백신. 사진=픽사베이

이런 가운데 코로나19 자연면역력이 생긴 미접종자의 경우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1회 접종만으로도 폭넓은 면역반응을 끌어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학교병원 감염내과 박완범·최평균·강창경 교수팀과 서울대 의대 이창한 교수팀은 지난 6일 코로나19 확진 6개월 또는 18개월 후 mRNA계열의 백신을 접종한 43명의 면역반응을 분석한 결과 백신 1회 접종만으로도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미 다른 연구에서도 코로나19 확진자에게 mRNA 백신을 1회 투여하면 폭넓은 면역반응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지금까지 코로나19 감염 후 1년이 지난 시점에서 백신접종자 대상으로 한 연구는 없었기 때문에 '언제까지' 1회 접종만으로 면역을 얻을 수 있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서울대 연구팀은 코로나19 확진 여부에 따른 mRNA 백신 접종 시기 및 횟수에 따라  무확진 및 백신 미접종군, 무확진 및 백신 1회 접종군, 무확진 및 백신 2회 접종군, 확진 6개월 후 백신 1회 접종군, 확진 18개월 후 백신 1회 접종군, 확진 6개월 후 백신 2회 접종군, 확진 18개월 후 백신 2회 접종군으로 나눈 뒤 혈액검사로 면역반응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코로나19 확진 18개월 후에 백신을 접종했을 때도 6개월 후 접종한 경우와 비슷한 수준의 면역반응이 형성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확진 18개월 후 단 1회 백신 접종으로도 오미크론을 포함한 다양한 변이에 폭넓은 면역반응이 관찰됐다. 바이러스를 무력화시키는 중화항체와 세포 안의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역할에 기여하는 세포 매개 면역반응도 활성화됐다.  


Screenshot 2022-05-06 at 14.39.46.jpg
코로나 감염 후 시기 및 백신 접종 횟수에 따른 다양한 변이주에 대한 IgG항체역가. 확진 6개월 또는 18개월 후 백신 1회 접종군 간의 결과는 비슷했고, 2회 접종 후 항체역가 상승은 뚜렷하지 않았다. 자료=서울대학교병원 감염내과 박완범·최평균·강창경 교수팀과 서울대 의대 이창한 교수팀

다만, 코로나19 완치 후 백신을 2회 접종하는 것은 면역반응을 더 크게 높이지는 않았다. 결국 코로나19 확진 후 백신 접종은 mRNA 백신 한차례로 충분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박완범 교수는 "코로나19 감염 후 부작용에 대한 걱정 등 여러 사유로 백신을 못 맞은 미접종자가 여전히 많다"며 "설사 감염 후 일 년 반이 지났더라도 1회 mRNA 백신 접종으로 여러 변이주에 대한 면역이 형성되므로 감염된 기간과 관계없이 백신 접종을 하면 된다"고 말했다.


특히 코로나19에 확진됐던 백신 미접종자들을 중심으로 이제라도 백신을 맞아야 할지 고민이 깊어진 가운데,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1회 접종만으로도 폭넓은 면역반응을 끌어내기에 충분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전체댓글 0

  • 93499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코로나19 완치 후 백신 접종해야 하나?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