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6(목)
 
맞벌이 직장인 10명중 6명 정도는 영유아 자녀를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맡기고 출근하는 것으로 조사됐다.지난해 10명중 4명에서 크게 증가한 수준이다.

따라서 한 달 평균 보육비도 지난해 평균 61만원에서 올해 평균 48만원으로 줄었다.

취업포털 잡코리아(www.jobkorea.co.kr)가영유아 자녀가 있는 맞벌이 직장인 489명을 대상으로 <영유아 자녀보육에 대해> 조사했다.

자녀 보육을 누가 하는가 조사한 결과,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등 ‘보육기관’에 맡긴다는 답변이68.3%로 높았다. ‘부모님께 맡긴다’는 답변은 27.0%에 그쳤다.

지난해 동일조사의 경우, 보육기관(41.2%)에 맡기거나 부모님께(39.8%)맡긴다는 답변이 비슷한 비중을 차지한 것과 크게 달라진 것이다.

영유아 자녀 한 명을 보육하기위한 지출도 월 평균 48만원으로 지난해(평균61만원)보다 줄었다.

조사결과 ▲보육기관에 맡기는 경우는 월 평균 보육비가 42만원으로 집계됐고 ▲부모님께 맡기는 경우는 평균 60만원 ▲시간제돌보미의 도움을 받는 경우 평균 23만원 ▲베이비시터의 도움을 받는 경우는 평균87만원으로 집계됐다.

보육기관에 맡기는 경우 부모님께 맡기거나 베이비시터를 두는 것보다 금액으로 덜 들어가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육기관의 경우 아이의 연령에 따르는 정부지원금과는 별도로, 매월 원비나 문화행사비(공연관람/재롱잔치 등)와 특별활동비 등을 지불해야 한다.이에 대해 학부모들은 ‘금액이 과하다-부당하다’(80.2%)는 의견이 높았지만,구체적으로 활동하는 내용에 대해 물어보거나 항의하지는 못하는 것(84.7%)으로 조사됐다.아이를 맡기는 입장에서 아이에게 해가 갈까봐 묻지 못하는 분위기다.

한편, 영유아 자녀 육아를 위한 육아정보를 주로 어디에서 취득하는지 조사(*복수응답)한 결과 ‘인터넷 육아카페나 블로그’가66.5%로 압도적으로 가장 많았다. 이 외에는 친인척이나 친구 등 지인(45.6%)육아잡지 등 도서(35.8%) 육아 전문포털 등(27.4%)순으로 조사됐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맞벌이 부부, 영유아 보육비 한 달 평균 48만원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