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8(토)
 
소득 및 소비생활 만족도는 50대 이상이 가장 높은 반면 30대의 경우 소득과 소비생활 모두 전체 연령층에서 불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3.png
자료=벼룩시장구인구직 제공

 

벼룩시장구인구직이 성인 남녀 49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응답자 10명 중 7명은 ‘지난해에 비해 생활여건이 나아지지 않았다(68.2%)’고 답했다.

이들의 월 평균 소득은 290만5000원이었으며 현재 소득에 만족한다는 답변은 18.5%에 머물렀다. 하지만 불만족 비율은 47.3%에 달했다.

결혼 여부로 소득 만족 비율을 보면 ‘기혼(19.5%)’이 ‘미혼(17.9%)’에 비해 소득만족도의 비율은 높았으며 연령별로는 50대 이상’의 소득 만족 비율이 22.6%로 가장 높았고 ‘30대(20.1%)’, ‘40대(15.8%)’, ‘20대(14.5%)’의 순이었다.

응답자의 월 평균 희망 소득은 444만3000원으로 집계되었다. 이는 실제 월 평균 소득 290만5000원 보다 53% 정도 높은 수준으로 현실과 희망 소득의 격차는 아주 컸다.

월 평균 소비액은 156만원이었지만 기혼은 225만5000원, 미혼은 114만7000원을 지출한다고 답해 결혼 여부에 따른 월 평균 소비액은 큰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소비항목으로는 ‘식비’가 36.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주거비(24.8%)’, ‘여가, 유흥, 취미 생활비(11.2%)’, ‘교육비(10.4%)’, ‘대출이자(8.1%)’, ‘보험(6.3%)’, ‘의료비(2.9%)’가 그 뒤를 이었다.

소비생활 ‘만족’도 비율은 34.5%로 ‘불만족(36%)’도 비율보다 조금 낮게 조사되었으며 ‘보통이다’고 답한 응답자가 39.5%로 가장 많았다.

연령별 소비생활 만족 비율은 ‘50대 이상’이 32.2%로 가장 높았고 ‘30대(31.4%)’, ‘20대(26.9%)’, ‘40대(22.8%)’ 순으로 이어졌다. 연령별 소비 불만족도의 경우 30대 이상이 42.5%로 30%대를 기록한 다른 연령층을 웃도는 비율이었다.

또한 혼인 상태에 있어서는 ‘미혼(26.3%)’이 ‘기혼(21.2%)’에 비해 소비생활 만족도가 높았다.

한편 만족스러운 소득을 위해 투잡을 할 의향이 있냐는 질문에 10명 중 7명 이상이 ‘있다(74.9%)’고 답했으며 특히 30대(79.9%), 40대(75.2%)의 투잡에 대한 니즈가 많았다.
 
오현석 삼성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최근 분위기는 아파트 가격 급등에 당황해서 물가 안정에는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는 경향을 보인다. 주거 안정이 담보되지 않으면 소득 만족도는 낮아진다"면서  "현재 단기적인 물가안정 정책보다는 우리나라 물가가 농수산식품과 석유가격 등에 매우 민감, 변동성이 큰 점을 감안해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물가정책을 마련하면 소득안정 및 만족도도 동반된다"고 지적했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성인남녀 70%, "지난해보다 살림살이 더 빠듯해”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