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2(일)
 

"건강을 생각한다면 시럽을 넣은 커피 대신 프로피(proffee)를 선택하세요."

 

프로피는 단백질(protein)과 커피(coffee)의 합성어로, 아메리카노에 단백질 분말을 넣은 커피를 가리킨다.

 

미국의 건강 전문 웹 사이트인 ‘저것 말고, 이것 먹어!’(Eat this, Not that!)는 ‘전문가가 들려주는 커피에 대해 완전히 잘못 알고 있는 7가지’(7 Things You Know About Coffee That Are Totally Wrong, Say Experts)란 제목의 7일자 기사에서 “2020년 한 해 동안 미국인은 하루 평균 1.87잔의 커피를 소비했지만, 오해도 많다”고 지적했다.


mz111e.jpg
커피에는 건강을 위한 강력한 영양소가 가득하다. 사진=픽사베이

 

첫째, 당뇨병 환자는 커피를 마시면 안 된다는 속설이다. 그러나 커피를 많이 마시면 당뇨병 위험을 오히려 낮출 수 있다. 


하루 커피 1잔 더 마실 때마다 2형(성인형) 당뇨병 발생 위험이 7%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디카페인 커피도 당뇨병 위험을 낮추는 효과는 마찬가지다.

 

둘째, 인스턴트커피는 건강에 이롭지 않다는 말도 사실이 아니다. 인스턴트커피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커피의 유익한 물질이 대부분 제거된다고 믿는 사람이 많지만, 이는 과학적 근거가 없다. 인스턴트커피엔 끓인 커피보다 웰빙 성분이 덜 들었을 수 있지만, 항산화 성분은 여전히 존재한다.

 

셋째, 커피가 탈수를 일으킨다는 것도 잘못된 정보다. 커피의 카페인이 이뇨 효과를 가진 것은 사실이지만 커피가 액체여서 이뇨 효과를 상쇄하고도 남는다. 


비슷한 양의 커피 또는 물을 3일간 마신 그룹의 혈액과 소변을 조사했는데, 두 그룹의 수분 수치에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LOS One지).

 

넷째, 운동 등 신체 활동 전에 커피를 마시면 안 된다는 속설이다. 커피는 운동 기능을 오히려 높일 수 있다. 많은 스포츠 선수가 운동 전이나 운동 중에 카페인을 보충해 신체와 정신 능력을 높인다. 


커피는 운동 중 피로나 통증 감소, 지구력 향상, 집중력 개선도 돕는다. 운동 등 신체 활동 1시간 전에 1∼3잔의 커피를 마실 것을 기사에선 권장했다.

 

다섯째, 커피는 열량만 높고 영양가는 없는(empty calories) 음료란 오해다. 살을 빼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 열량이 300㎉에 달하는 카페라테가 나쁜 선택이 될 수 있다. 


블랙커피 한 잔의 열량이 1㎉에 불과하다. 문제는 커피가 아니라 커피에 무엇을 넣느냐다. 유청단백질 등 단백질 분말(protein)을 커피(coffee)에 추가한 ‘프로피’(proffee)가 건강을 위한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단백질 셰이크를 냉커피에 넣는 것도 방법이다. 일부 미국인 사이에서 혈당을 자극하는 시럽 대신, 건강에 이로운 단백질을 함유한 프로피가 인기를 얻고 있다.

 

여섯째, 커피가 10대의 성장을 방해한다는 잘못된 믿음이다. 커피를 즐기는 청소년이라도 우유를 하루 15∼30㎖ 이상만 마신다면 성장에 중요한 미네랄인 칼슘 섭취에 문제가 없다.

 

일곱째, 커피가 건강에 좋지 않다는 잘못된 믿음이다. 커피에 건강을 위한 강력한 영양소가 가득하다는 것을 알면 놀랄지도 모른다. 


커피엔 항산화 성분은 물론 칼륨ㆍ나이아신ㆍ마그네슘이 풍부하다. 커피는 미국인의 식단에서 항산화 성분의 주요 공급원이다. 


커피를 마시는 것은 일부 암ㆍ제2형 당뇨병ㆍ대사성 질환ㆍ간 질환ㆍ파킨슨병ㆍ알츠하이머형 치매ㆍ우울증 발병 위험 감소와 관련이 있다. 

전체댓글 0

  • 11646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당뇨병 환자는 커피 마시면 안 된다’는 건 낭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