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2(일)
 

산업조사 전문 기관인 씨에치오 얼라이언스가 ‘2021 국내외 수소자동차 기술개발 동향과 시장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4월 유럽연합은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최소 55% 감축하고 2050년 탄소 중립국 달성을 목표로 하는 강화된 내용의 유럽기후법(European Climate Law)에 잠정 합의했다. 


우리나라 정부도 2020년 그린뉴딜을 통해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을 알린 데 이어 2050년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부문별 이행계획을 수립해 추진 중이다. 


미국, 중국, 일본 등 세계 주요국 또한 경쟁적으로 탄소중립을 선언하며 지구적 과제인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소경제가 전 세계적인 핵심의제로 등장하고 있다.


그에 따른 수소경제 전반의 수소 생산, 저장, 운송과 함께 수송용 연료전지 기술도 꾸준한 지원으로 기술개발이 이뤄질 전망이며, 특히 수소연료전지자동차는 친환경차 개발 보급과 수소경제 활성화라는 정책에 따른 동반성장이 예상된다. 전기차에 비해 긴 주행거리와 낮은 연료 무게를 가져 장거리 운행이 유리함에 따라 수소상용차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독일은 수소 모빌리티 활성화를 위해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하고 기업들과 각종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미국 캘리포니아주는 규제와 인센티브 프로그램을 통해 단기, 중장기 무공해 자동차 정책을 도입하고 있다. 일본 또한 2050 수소사회 구현을 목표로 수소 생산부터 사용까지 전 단계에 걸친 기술개발, 인프라 구축 등 노력을 전개하고 있다.


3554238800_20200928090543_9717502281.jpg
2020년 9월 현대자동차가 수소전기차∙수소전기버스를 중동 시장에 첫 수출하고 있다. 사진=현대차 제공

 

한편 전 세계에서 수소차를 생산하고 판매하는 완성차 기업은 아직 많지 않은 실정이다. 대표적인 기업으로 현대차, 도요타, 혼다를 꼽을 수 있는데 특히 현대차는 2020년 글로벌 수소차 판매 순위 1위를 차지하며 시장점유율 70%에 가까운 비중을 보였다. 


도요타는 2021년 미라이 2세대 모델을 출시하며 시장점유율을 끌어올리고 있는 가운데, 블룸버그는 2025년 3.4만대, 2030년 7.2만대 수준의 수소차 판매량을 전망했으며, 특히 2025년 전체 판매량의 65%를 한국과 일본이 차지할 것으로 예상한 바 있다.


수소의 생산, 저장, 운송부문에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것으로 예상되는 2030년경에는 수소 경제가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수소차 제조원가의 50%를 차지하는 연료전지도 성능 개선 및 가격 하락이 진행되면 전기차와의 가격 경쟁력도 향상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전체댓글 0

  • 3723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탄소중립 기획] "2025년 수소차 판매량 65% 한국과 일본이 차지할 것"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