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10(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시대를 거치면서 문학의 가치가 재조명받고 있다. 포스트 코로나 일상은 물론 인간관계의 방식 역시 급변하고 있다. 아울러 삶의 의미를 일깨우는 문학의 장르적 특성이 많은 독자로부터 공감을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목 없음wwe.jpg
서점가 베스트셀러 도서 코너 사진=위메이크뉴스 DB

관심이 높아진 문학 장르 중에서는 따뜻한 상상으로 현실을 위로하는 판타지 소설과 다정한 언어로 사랑과 희망을 노래하는 시집들이 꾸준한 강세를 보이고 있다. 


온라인 서점 예스24의 집계 결과에 따르면 2019년 -9.6%를 기록했던 ‘소설·시·희곡’ 분야 도서 판매량은 팬데믹 이후인 성장세로 돌아섰다. 코로나19 사태가 시작된 2020년부터 21.4%로 반등한 후 2021년 상반기에도 8.3%의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2021년 상반기 예스24 종합 베스트셀러 100위권 도서 중 소설 또는 시집은 총 13권으로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부동의 1위를 기록하고 있는 ‘경제 경영’ 및 ‘어린이’ 분야 다음으로 올라섰다.

 

이호준 문화 칼럼니스트는 "문학은 ‘인간의 사는 이야기’를 통해 인간을 이해하는 것이다. 소설 특히 공상과학이나 판타지 문학은 현실에 있음 직한 허구의 인물과 사건을 통해 인간 삶의 방향성을 돌아보는 한편, 때로는 비현실적 상상으로 현실의 고통을 치유하는 측면을 갖는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며 판타지 소설이 대세로 떠오른 이유는 사람들의 우울감이 깊어짐에 따라 동화 같은 상상으로 따뜻한 희망과 긍정의 메시지를 전하는 식의 힐링 효과가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한편 소설과 시 문학을 찾는 주 독자층은 ‘40대 여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상반기 예스24를 통해 소설·시·희곡 분야 도서를 구매한 연령은 40대(39.57%)·30대(20.26%)·50대(17.51%)·20대(15.45%) 순이었고 남녀 성비는 약 3:7로 여성 독자 비중이 높았다.


박형욱 예스24 MD는 “소설·시 문학 강세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지치고 힘든 현실 속에서 공감과 위로를 전하는 문학의 가치를 보여준다. 일상의 회복을 기대하는 올 하반기에는 더욱 다양한 장르의 문학 작품이 꾸준히 사랑받을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분석했다.


◇2021년 상반기 소설·시·희곡 분야 베스트셀러 10

1. 달러구트 꿈 백화점(이미예 저/팩토리나인)

2. 아몬드(손원평 저/창비)

3. 마음챙김의 시(류시화 편/수오서재)

4. 파친코 1(이민진 저/문학사상)

5. 파친코 2(이민진 저/문학사상)

6. 시선으로부터,(정세랑 저/문학동네)

7. 2021 제12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전하영·김멜라·김지연·김혜진·박서련·서이제·한정현 공저/문학동네)

8. 꽃을 보듯 너를 본다(나태주 저/지혜)

9. 미드나잇 라이브러리(매트 헤이그 저/인플루엔셜)

10. 나태주, 시간의 쉼표(나태주 글그림/서울문화사)

전체댓글 0

  • 93405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팬데믹 속 ‘문학의 가치’ 재조명… 소설·시 분야 강세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