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1(토)
 

인천시 강화군이 조선후기 문신 이건창 생가를 복원(1997년 1월)하면서 원래 모습과 전혀 다른 엉터리 복원을 진행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한 원래 있던 고건축 자재를 재활용하지 않고 빼돌렸다는 의혹과 함께 매년 유지관리비로 약 1억 5천여만원 정도의 예산이 낭비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22444_1609737088.png
이건창 생가 복원전 전경 사진=익명의 제보자 

 

22444_1609737094.png
강화군은 이건창 생가 복원후 달라진 점에 대한 해명이 없었다. 사진=익명의 제보자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문장가로 알려진 이건창(1852∼1898)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사기리에서 태어났다. 강화도에 소재한 이건창의 생가는 인천시 기념물 제30호로 원래 대궐같이 크고 웅장한 건물은 아니었지만, 외관만 보아도 양반집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건물의 기초는 크고 반듯한 돌로 축대를 쌓아 주변보다 높아서 건물 자체가 기품과 위엄이 있어 보였다고 전해졌다.

  

1997년 복원공사 전 건물은 함석집(그 이전은 초가집)이긴 했으나 이건창의 가문이 양반이었던 점이 사료로써 증명되고, 뒤뜰 담장 주변에 많은 기와 조각이 많이 널려 있었던 점 등을 감안하면 원래 기와집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제보자에 따르면 인천시와 강화군은 발굴조사 등 기본적인 조사연구도 하지 않은채 초가집으로 복원하고 기와 조각 등 중요자료를 모두 폐기 처분해 버린 것으로 알려졌다.  

  

바깥채의 사랑방에는 마당 쪽으로 마루가 있었는데 복원한 건물에는 바깥 마루가 없다. 바깥채의 경우 안채와 다르게 후에 개축되었다는 기록도 있지만 최소한 '몇 년도 경에 개축되었다'고 표기하고 보존하는 것이 올바른 문화재 보존 방법이다. 


하지만, 강화군은 문화재로 지정된 원래의 건물을 완전히 철거한 후 엉뚱한 건물을 신축해 놓고 이건창 생가를 복원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원래 담장은 이 지역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화강암 등으로 나즈막히 쌓은 돌담이었으나 지금은 붉은색 진흙과 깬 돌로 쌓고 그 위에 초가지붕을 얹은 형태로 바뀌었고 처음에는 안채만 담장으로 둘러져 있었으나 현재 바깥채까지 담장이 조성돼 있다. 이런 방식의 담장은 이 지역에 전해 내려오는 전통적인 담장 형태가 아니다. 

  

또한, 아궁이는 실제 사용하지도 못할 정도로 작고 굴뚝은 소꿉장난하듯이 세워놓았으며 건물의 벽도 원래 하얀 회가 발라져 있었으나 지금은 붉은 진흙으로 덧칠해져 있다. 

  

문화재보호법 제3조에 따르면 '문화재의 보존ㆍ관리 및 활용은 원형 유지를 기본원칙으로 한다'고 규정되어 있지만, 이건창 생가는 복원 후 원형과는 전혀 다른 초가로 개조됐다.   

  

건조 문화재는 안전이나 관리상의 문제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원래의 지반과 건물형태의 원형을 보존하면서 부분적으로 보수하여 원래의 모습을 보존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지금의 이건창 생가는 원래의 건물을 완전히 철거하고 지반까지도 평평하게 밀어버렸다. 제보자는 실측도 반영하지 않은 채 아무런 고증도 없이 군청 담당자의 상상력만으로 다시 지은 것이며 문화재 복원이 아닌 단순한 창작물에 지나지 않을 뿐이라고 주장했다.   

  

이건창의 조부 충정공 이시원은 개성부유수와 이조판서를 지냈고 부친 이상학은 증이조참판을 역임했다. 이건창 자신도 한성부소윤, 안핵사, 승지 등의 관직을 역임했던 강화도 토박이이자 양반가의 후손이었다. 마을주민들이 인근 여러 필지의 토지를 “양반네 땅”이라고 부를 정도로 이건창의 집안은 상당한 재력을 가진 가문으로 전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천시와 강화군은 이건창이 강화도 아주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입신양명한 인물인 양 소개하며 실제 거주할 수도 없을 만큼 작고 초라한 집을 지어 놓고 생가를 복원한 것처럼 꾸몄다는 것이다. 제보자에 따르면 문화재를 관리해야 할 주무 관청인 인천시와 강화군이 스스로 문화재를 훼손한 셈이다. 

  

제보자의 의혹 제기에 대해 인천시와 강화군은 ‘당시의 복원공사는 이건창이 살던 당시의 가옥의 복원이 아닌 가족들이 구한말 만주로 독립운동을 떠난 후, 일제강점기 이후 살았던 후손들이 살던 안채를 전면 해체하여 원형대로 복원하는 공사를 실시’ 했다고 해명했다. 

  

인천시와 강화군의 해명대로라면 일제강점기 이후 이건창 후손들이 살았던 집을 복원한 후 이건창이 태어난 생가라고 우기는데 혈세가 낭비되고 있는 셈이다. 


제보자는 "강화군은 당초 시 기념물(이건창 생가)로 지정된 건물을 모두 철거하고 현재의 건물을 새로 지은 이유를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강화군청 관계자는 "지역에 있는 문화재들은 안전 경비와 청소 인력 등을 투입해 꾸준히 관리하고 있는데 놓친 부분이 있었던 것 같다"며 "현장을 찾아 보수가 필요한 부분을 파악했고 최대한 빨리 조치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

  • 79613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단독]'강화군 이건창 생가' 엉터리 복원에 '혈세 낭비'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