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4(화)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올해 3월, 전국 상위 20%에 해당하는 5분위 아파트 매매가가 사상 처음으로 10억원을 돌파하며, 하위 20%에 해당하는 1분위 아파트 매매가와 큰 격차를 보였다.


img_highend02.jpg
아크로 서울포레스트 사진출처=아크로 서울포레스트 홈페이지

 

KB국민은행 리브온(LiivOn)이 제공하는 KB주택가격동향 시계열 자료에 따르면, 지난 3월 전국 5분위 아파트 매매가는 10억1588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같은 달 7억9372만원 보다 무려 27.98%(2억2216만원) 가량 증가한 수준이다. 반면, 하위 20%에 해당하는 1분위 아파트 매매가는 같은 달 1억1599만원으로 집계되며, 처음 1억원을 넘어선 2013년 4월 이래로 8년째 1억원대를 맴돌고 있다. 


전국 상위 20%(5분위)와 하위 20%(1분위)의 가격 격차를 나타내는 5분위배율도 8.8로 기록돼 조사를 시작한 이래로 가장 높게 치솟았다. 5분위배율 수치는 가격격차가 심할수록 높게 나타난다.


img_highend01.jpg
아크로 서울포레스트 사진출처=아크로 서울포레스트 홈페이지

 

이러한 상황 속에서, 5분위에 해당하는 최고급 아파트들은 전국적으로 매물 품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마·용·성의 하나로 불리며 수많은 고층 아파트들이 위치한 서울 성동구의 ‘아크로 서울포레스트(280가구)’는 지난해 말 첫 입주를 시작하기도 전에 전셋값이 분양가를 뛰어넘어 화제가 됐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집계된 해당 아파트 매매 거래건수는 단 2건에 불과하다.  


지방에서도 마찬가지다. 광주광역시 역대 최고 분양가로 화제를 모았던 ‘빌리브 트레비체’는 3.3㎡당 평균 분양가가 2000만원을 넘겼음에도 불구하고 1순위 청약에서 5.1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완판됐다. 


업계에서는 수도권은 물론 지방까지 전국이 규제 사정권에 들어서자 장기적으로 자산가치가 높은 부동산자산을 소유하려는 움직임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높은 미래가치가 기대되는 최고급 아파트로 수요가 몰리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더불어 지난해부터 이어진 저금리 기조도 한 몫 했다는 평이다. 

전체댓글 0

  • 29123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부동산시장 초양극화, '최고급 아파트는 없어서 못사'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