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17(월)
 

서울 아파트 가격이 약보합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매매수급지수가 10주 연속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용산구 아파트값도 4개월 만에 하락했다.


Screenshot 2022-07-15 at 07.41.51.jpg
사진=픽사베이

 

15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금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86.4로 지난주(86.8)보다 0.4포인트(p) 하락했다. 매매수급지수는 부동산원이 회원 중개업소 설문과 인터넷 매물 건수 등을 분석해 수요(매수)와 공급(매도) 비중을 지수화한 것으로, 이 지수가 기준선(100)보다 낮으면 낮을수록 시장에 집을 사려는 사람보다 팔려는 사람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매매수급지수는 지난 5월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 한시 배제 조치 시행 이후 꺾이기 시작해 10주 연속 하락하고 있다.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소득세 중과 한시 배제 조치로 매물은 늘어나는데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0.5%포인트 '빅스텝' 인상과 3연속 금리 인상으로 집값이 더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매수심리는 위축되는 상황이다.


서울 5대 권역의 수급지수가 모두 떨어졌다. 용산·종로구가 있는 도심권은 84.7로 지난주(85.7)보다 1.0p 하락하면서 가장 많이 떨어졌다. 용산구는 이번주 아파트값이 0.01% 내리며 용산 대통령실 이전 결정 이후 4개월 만에 상승·보합세를 마감하고 하락으로 전환됐다. 윤석열 대통령이 당선인 신분이던 지난 3월 20일 대통령실을 서울 용산의 국방부 청사로 이전하겠다고 직접 발표한 이후 용산구 일대의 아파트값은 급등했다.


'노원·도봉·강북구 등 이른바 노도강 지역의 매매수급지수는 81.4로 지난주(82.1)보다 0.7p 떨어졌고, 강남4구가 포함된 동남권 역시 지난주보다 0.7p 하락한 91.9를 기록했다.


마포·은평·서대문구 등이 속한 서북권은 지난주보다 0.2p 하락한 79.3으로 서울 5대 권역 중 매매수급지수가 가장 낮았다. 양천·영등포구 등이 포함된 서남권은 지난주(90.5)보다 0.2p 오른 90.7로 5대 권역 중 유일하게 상승했으나 여전히 기준선을 크게 밑돌았다.


지난 14일 한국부동산원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5∼11일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04% 떨어지며 7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5월 말부터 하락세를 기록 중인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 3주 연속 0.03% 떨어진 데 이어 이번 주 0.04% 하락하고 있다. 


기준금리 인상 압박이 지속됨에 따라 매물이 쌓이고 매수심리가 위축되면서 서울 전체적으로 하락 폭이 커진 것이다.


특히 대통령실 이전으로 호재가 있던 용산구 아파트값이 하락세로 전환된 것은 눈여겨 볼 만 하다. 지난주에 아파트값이 4개월 만에 하락으로 돌아선 강남구는 전주와 동일한 하락률(-0.01%)을 기록했다.

전체댓글 0

  • 42058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10주 연속 '위축'...용산구도 하락세 전환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