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13(목)
 

올해 1분기 일본 맥주 수입액이 1년 만에 두 배 이상으로 커졌다. 한국에 대한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 조치 이후 최대 수입액으로 월 기준으로는 60% 수준까지 회복했다.


Screenshot 2023-05-08 at 07.57.40.JPG
편의점에 진열된 맥주. 사진=연합뉴스

 

'노재팬(NO JAPAN)'으로 불리던 일본산 불매 운동이 시들해지고 한일 정상회담 등을 계기로 일본 맥주의 판촉 활동과 신제품 출시도 재개되고 있어 수입 규모는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7일 기준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올 1분기 일본 맥주 수입액은 662만6천달러로 지난해 동기보다 148.4%나 늘었다. 이는 일본의 수출 규제 조치가 단행되기 직전인 2019년 2분기(1천901만달러) 이후 최대다.


지난 19년 7월 일본은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판결에 반발해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소재 등에 대한 한국 수출 규제에 나섰다. 그러자 반일 감정이 커지면서 일본 맥주 수입은 급감했다. 수입액이 2019년 2분기 1900만달러 수준에서 3분기 460만달러로 급감했고 4분기에는 39만달러까지 축소됐다.


당시 아사히, 삿포로, 기린 등 국내에서 많이 팔리던 일본 맥주는 대형마트와 편의점에서 눈에 띄게 사라졌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증가세로 전환됐다. 지난해 2분기 260만달러, 3분기 500만달러로 늘어난 데 이어 4분기 420만달러를 거쳐 올해 1분기 600만달러 선을 넘었다. 올해 1분기 수입액은 수출 규제 조치 이전인 2019년 1분기(1천578만5천달러) 대비 42.0% 수준이다.


월 기준으로 보면 60% 수준까지 도달했다. 올해 3월 수입액은 293만8천달러로 수출 규제 전인 2019년 3월(501만7천달러)의 58.6%를 기록했다.


한일정상회담과 셔틀외교 복원 등 정치외교적으로 한일 관계가 개선되고 있는 가운데 일본 맥주의 판촉 활동 재개와 신제품 출시로 수입 규모가 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일부 대형마트에서는 일본 맥주 4캔을 9900원에 판매하는 판촉 행사가 진행되고 있다. 또 최근 뚜껑째 열어 마실 수 있는 '아사히 수퍼드라이 생맥주'는 일부 편의점 매장에서 출시와 동시에 품귀 현상을 보이기도 했다.


Screenshot 2023-05-08 at 07.57.33.JPG
분기별 일본 맥주 수입 추이 (단위: 천달러). 자료=관세청

 

한편 올해 1분기 대(對)일본 한국 맥주 수출액은 지난해 동기 대비 50.4% 증가한 327만9천달러였다. 이는 2019년 1분기(36만달러)와 비교하면 9.1배에 달하는 것이다. 올해 1분기 맥주 무역수지는 334만8천달러 적자였다.


소주는 대일본 수출액이 수입액의 20배가 넘었다. 1분기 한국 소주 수출액은 지난해 동기보다 3.6% 감소한 699만4천달러였고, 일본 소주 수입액은 20.3% 증가한 33만2천달러였다.


일본 소주 수입액은 일본 맥주에 비해 규모가 크진 않아 수출 규제 조치 이후에도 큰 변화는 없었다.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지난 3월 한일 정상회담 관련 친교 시간에 일본 생맥주와 한국 소주를 섞은 일명 '폭탄주'를 마셔 화제가 되기도 했다.

전체댓글 0

  • 37454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노재팬 사라졌다"...일본 맥주 수입 60% 수준까지 반등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