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4(화)
 

 

"껌 보단 젤리" 

 

giant-rubber-bear-1089612_1280.jpg
다양한 젤리 제품이 껌 시장을 제치고 인기를 얻고 있다. 사진=픽사베이

 

젤리 시장이 뜨고 있다. 최근 제과업계에서는 MZ세대를 겨냥해 다양한 이색 젤리들을 선보이고 있다. 기존의 일반 젤리와는 달리 단무지 젤리, 삼겹살 모양 젤리, 아이스크림맛 젤리 등 특이한 모양과 맛의 젤리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인기를 얻고 있다. 

 

단무지, 마카롱젤리, 스테디셀러 과자에서 영감을 얻은 롯데제과는 빼빼로 젤리, 몽쉘 젤리등을 선보이며 젤리의 종류를 늘려가고 있다. 제과업계에서는 젤리 식감을 입힌 비타민과 숙취해소제까지 출시하면서 향후 국내 젤리 시장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유로모니터 통계에 따르면 국내 젤리 시장 규모는 지난해 약 3580억원, 올해는 3697억원으로 확대되고 있다. 오는 2023년에는 3942억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젤리의 인기는 편의점으로부터 시작된다. 편의점 GS25의 젤리 매출은 2019년 42.9%에서 2022년 49.5%으로 증가했다.  


지난 1일부터 14일간 캐릭터 젤리 매출 데이터를 분석해 본 결과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14.4%로 급신장했다고 밝혔다. 올해 포켓몬·메이플스토리 등 캐릭터 빵에 대한 열풍이 최근 젤리까지 확산되는 추세다. 


31017998_20220918100337_5298400967.jpg
GS가 판매하는 캐릭터 젤리 이미지 사진=GS25 제공

 

GS25가 현재 판매 중인 대표 캐릭터 젤리의 판매 현황을 살펴보면 ‘짱구키링젤리’는 올해 5월 출시 후 현재까지 50만개, ‘포켓몬키링젤리’는 올해 6월 출시 후 현재까지 80만개가 넘게 판매됐다. 해당 상품들은 해외 수입 상품으로 준비했던 대부분 물량이 빠르게 소진돼 현재 추가 물량 확보에 나섰다.


7월 말 출시한 ‘못말리는짱구젤리’와 9월 초 출시한 ‘캐치티니핑 2종’ 젤리도 각각 40만개와 10만개가 넘게 판매되는 등 현재 편의점을 중심으로 캐릭터 젤리 열풍이 불고 있다.


GS25는 캐릭터 젤리의 인기 비결이 “친근하고 귀여운 캐릭터 이미지를 사용한 것”과 “다양한 캐릭터 굿즈(키링, 스티커)를 동봉한 것”을 주요 원인으로 꼽고 있다. 


실제로 짱구키링젤리, 포켓몬키링젤리 상품에는 키링(열쇠고리)과 못말리는짱구젤리, 캐치티니핑 상품에는 스티커(캐릭터 씰)가 들어있다.  

 

키덜트족과 아이들은 키링과 스티커 등 굿즈를 수집하기 위해 점포를 자주 방문해 캐릭터 젤리를 구매하거나 원하는 굿즈를 구하기 위해 온라인 거래까지 하는 등 온·오프라인에서 크게 이슈화하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한편 편의점 GS25는 지난 15일 또 다른 히트작으로 기대하는 ‘디지몬젤리’를 단독으로 출시했다. 디지몬은 2000년대에서 방영돼 최고 시청률 28.7%까지 나와 큰 인기를 끌었던 애니메이션이다. 기존 캐릭터 젤리와 마찬가지로 디지몬젤리도 120종의 디지몬 스티커(캐릭터 씰)가 랜덤으로 1개씩 동봉됐다. 또 1개의 상품 안에 2가지(레몬·소다) 맛의 젤리가 들어가 있어 다양한 맛을 즐길 수 있도록 했다.


디지몬젤리는 출시 전부터 인터넷 커뮤니티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입소문을 타고 주문이 쇄도하면서 초기 발주 수량이 30만개를 넘었다.

 

이관배 GS25 가공식품팀 MD(매니저)는 “굿즈를 동봉한 다양한 캐릭터 젤리가 MZ 세대에는 옛 추억을 상기시키고, 어린아이들에게는 새로운 재미를 주고 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캐릭터와 새로운 굿즈 아이템을 활용한 캐릭터 젤리 상품 라인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2022090511410706164352602f6ad619763125.jpg
사진=오리온 제공

 

편의점 CU도 젤리 매출에 기대가 높다. CU는 최근 독일 젤리시장 1위 하리보 시리즈와 비슷한 맛과 식감을 구현해 낸 오리온의 마이구미 알맹이와 농심의 츄파츕스 젤리 제품이 젤리 부문 판매량의 상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오리온 국내 젤리 매출액은 약 237억원으로 전년 대비 30% 이상 성장했다. 그 중 마이구미의 매출은 65% 상승했다. 

 

오리온 관계자는 “떠오르는 젤리 시장에 오리온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오리온의 젤리 제조 노하우로 소비자를 만족시킨 것이 인기 비결"이라고 밝혔다. 

전체댓글 0

  • 26368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캐릭터 젤리 314% 신장… 젤리도 캐릭터 열풍 분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