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4(화)
 

지난 2018년부터 올해 8월까지 5년간 BMW코리아, 메르세데스-벤츠, 폭스바겐코리아 등 독일산 수입차들이 가장 많이 리콜한 것으로 확인됐다. 

 

Screenshot 2022-09-21 at 10.30.49.JPG
자료=국토교통부·박상혁 의원/그래픽=연합뉴스. 사진=픽사베이

2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박상혁(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국토교통부 자동차리콜센터 최근 5년간 리콜 건수를 집계한 결과 BMW코리아가 2702회로 가장 많았다. 리콜 건수는 특정일에 같은 이유로 리콜된 건수를 차종별로 집계한 수치다.


BMW코리아의 리콜 건수는 2018년 417회, 2019년 684회, 2020년 527회, 2021년 703회, 올해 8월까지는 371회로 총 2702회로 집계됐다.


그 뒤를 이어 메르세데스-벤츠가 1555회, 폭스바겐코리아가 467회로 각각 2·3위를 차지했다. 벤츠의 연도별 리콜 건수는 2018년 302회, 2019년 216회, 2020년 234회, 2021년 545회, 올해 8월까지 258회 리콜을 시행한 것으로 기록됐다.


폭스바겐코리아는 2018년 107회, 2019년 58회, 2020년 115회, 2021년 85회, 올해 8월까지는 102회의 리콜을 시행했다. 

 

Screenshot 2022-09-21 at 10.30.59.JPG
리콜 건수 2,3위를 기록한 벤츠와 폭스바겐. 사진=픽사베이

최근 5년간 국내 완성차 5사 리콜 건수의 경우 현대차(162회·5위), 기아(96회·9위), 한국GM(51회·19위), 르노코리아차(34회·21위), 쌍용차(8회·34위) 순으로 외제 수입차보다는 리콜이 적었던 것으로 집계됐다. 


리콜 대수의 경우 현대차가 445만2941대로 가장 많았고 이어 기아(285만3264대), BMW코리아(143만1830대), 메르세데스-벤츠(73만6757대), 한국GM(72만9973대), 르노코리아차(38만39대), 쌍용차(18만1275대) 순이다. 


또 리콜 대수에서 시정 대수가 차지하는 비율을 뜻하는 시정률의 경우 현대차와 기아차가 70%를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차와 기아의 시정률은 각각 66.46%, 69.39%를 기록했다. 높은 리콜 건수를 기록한 BMW코리아, 메르세데스-벤츠, 폭스바겐코리아의 경우 77.02%, 88.83%, 79.24%의 시정률을 기록했다. 이외 한국GM, 르노코리아차, 쌍용차는 각각 시정률이 80.15%, 85.45%, 84.67%로 집계돼 모두 70%를 넘었다. 


박상혁 의원은 "차량 제작사는 리콜 시정률을 높이고 결함 없는 차량 제작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며 "리콜 제도를 통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국회에서 지속해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

  • 38829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5년간 리콜 건수 최다 1위는 BMW…현대·기아차 시정률 저조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