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5-31(금)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국내에 직접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예보가 나왔다. 


Screenshot 2022-08-31 at 08.21.43.JPG
8월 31일 오전 8시 제11호 태풍 힌남노 위성사진. 사진=기상청

31일 기상청에 따르면 힌남노는 이날 오전 3시 현재 일본 오키나와 동쪽 390㎞ 부근 해상에서 대만 쪽으로 서진 중에 있다. 


힌남노 중심기압과 최대풍속은 각각 915hPa(헥토파스칼)과 55㎧로 '초강력' 태풍으로 분류된다. 태풍의 강도는 '중-강-매우 강-초강력'으로 나뉘며 '초강력'은 최대풍속이 '54㎧ 이상'인 경우다. 


힌남노는 다음 달 2일 오전 3시 오키나와 남남서쪽 약 520km 부근 해상까지 다가올 전망이다. 이후에는 방향을 북쪽으로 틀어 4일 오전 3시에는 오키나와 서남서쪽 380㎞ 해상까지 북상할 것으로 보인다. 


Screenshot 2022-08-31 at 08.05.22.JPG
제11호 태풍 통보문. 자료=기상청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나 일본 기상청도 경로 예상이 이와 비슷하다. 힌남노는 향후 해수면 온도가 30도 내외로 따뜻한 바다 위를 지날 예정이어서 세력이 더 강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힌남노 스스로 세력을 약화할 가능성은 있다. 태풍이 해상에 머물 때 중심 아래쪽 바닷물을 강한 바람으로 밀어내면서 해수면이 낮아진다. 낮아진 해수면을 채우기 위해 차가운 심층 해수가 올라오게 되는데 그러면 해수면 온도가 낮아져 결국 태풍이 에너지를 받지 못하고 약해진다.


힌남노가 국내로 고온다습한 공기를 불어 넣고 이 공기가 북쪽 고기압 가장자리를 타고 북동쪽에서 불어오는 한랭건조한 공기와 충돌하면서 다음 달 2일부터는 제주와 남해안을 중심으로 비가 내릴 가능성이 있다.


이에 더해 서쪽 티베트고기압 확장 정도에 따라서 4일 이후 힌남노가 북동진을 거듭하면서 국내 남해안과 일본 사이 대한해협을 지날 가능성도 있다.


Screenshot 2022-08-31 at 08.06.37.JPG
11호 태풍 모델예측. 자료=기상청

한국형수치예보모델(KIM)과 유럽중기예보센터 모델(ECMWF)은 각각 일본 규슈지방을 스쳐 가거나 일본 중심을 관통할 확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하고 영국 기상청 통합모델(UM)은 대한해협을 통과할 여지가 큰 것으로 보고 있다.


기상청 관계자는 "힌남노가 서진할 확률과 북동진할 확률이 각각 얼마인지 단정적으로 말하긴 어렵지만 북상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태풍 힌남노가 대한해협을 지나도 국내에 위험반원에 들진 않는다. 위험반원은 태풍과 주위 풍향이 일치해 풍속이 합쳐지는 구역으로 북반구에선 진행방향 오른쪽이다. 물론 위험반원에 들지 않아도 강풍 등에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힌남노(Hinnamnor, 라오어: ຫີນໜາມໜໍ່)는 라오스에서 제출한 태풍의 이름으로, 라오어로 돌 가시 새싹을 뜻하며 라오스의 한 국립공원 명칭이기도 하다. 


기상청 관계자는 "태풍 강도와 경로에 변동성이 대단히 큰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전체댓글 0

  • 87772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11호 태풍 '힌남노', 2일부터 국내 영향줄 듯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