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이산은 조선시대 학자 율곡 이이가 지인 ‘무이구곡가’로 익숙한 지명이다. 율곡이 이곳을 배경으로 시를 지은 것은 주희가 이곳에서 강의를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국 남부의 푸젠에 있는데다 산 깊은 곳에 있어서 쉽게 가지 않는 여행지다. 우이산의 첫 인상은 정말 여행지로는 천국과 같은 곳이었다. 우이산 여행의 가장 큰 장점은 여행지들이 오밀조밀하게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우이산에서 제일 주목받는 흥밋거리는 대나무 뗏목을 타고 구곡계를 래프팅하는 것이다. 넓이 약 2m, 길이 약 9m의 오래된 대나무 뗏목 두개를 엮은 뗏목을 타고 약 9.5km의 구곡 시내를 물결 따라 아래로 가는 것이다.

시냇물의 속도가 완만하다가도 갑자기 급해지는 것이 마치 대나무 뗏목이 춤을 추는 것과 같다. 이와 같이 한 봉우리 한 봉우리를 지나가면서 스릴을 만끽하면서 양 옆의 아름다운 경치를 볼 수 있다.
우이산을 더욱 유명하게 한 것은 차다. 바위 위에서 자라는 차나무에서 나온 차로 만든 우이암차(武夷岩茶)는 우이산의 토산품이다. 우이암차의 품종은 매우 다양한데, 그중에 ‘따홍빠오’(大紅袍)가 제일 유명하다.
지우취시(九曲溪 구곡계)는 우이산 자연보호구역인 황강산(黃崗山) 남쪽 기슭에 있다.
무이구곡가는 1곡에서 시작하지만 래프팅은 9곡부터 거슬러 내려간다. 한 시간여의 래프팅은 맑은 물과 산수로 인해 지루할 틈이 없다. 강가의 바위에는 그 굽이가 표기되어 있다. 가는 길에 사공이 각기 설명을 한다. 때로는 수십 미터 깊이인 용소를 지나고 강가 바위는 개구리, 낙타 등 삼라만상의 형상이 있다.
톈요우펑의 옆을 지나는 육곡(六曲), 벼랑에 관을 안장한 현관(縣棺)을 볼 수 있는 삼곡(三曲), 옥녀봉과 만나는 이곡(二曲)이 인상적이지만 어느 곳 하나 버릴 수 없는 명승이 펼쳐진다. 특히 다른 봉우리들과 달리 벼랑으로만 되어 있어 등반할 수 없기 때문에 옥녀봉(玉女峰)의 오롯한 자태가 더 인상적이다.
우이궁(武夷宮 무이궁)은 따왕펑(大王峰)을 뒷배경으로 서 있는 조용한 정원 같은 곳이다. 과거에는 도교 사원이었지만 지금은 우이산과 연관된 명인들의 흔적이 전시되어 있는 곳이다.
당(唐) 천보연간(天寶年間, 742∼755년)에 만들어졌다가 송대에는 300칸에 이르렀지만 지금은 전각이 그리 많지 않다. 우선은 우이산의 명인들을 모신 완니엔궁(万年宮)을 봐야 한다.
건물의 주변에는 우이산 관련 인물들의 벽화가 그려져 있다. 전시관 밖에는 대나무와 꽃들이 어우러진 거대한 정원이 펼쳐진다. 한쪽에는 송나라 거리를 재현한 쑹지에(宋街)가 있고, 한쪽에는 유영(柳永 987∼1053)을 모신 기념관이 있다. 유영은 북송(北宋)의 문인으로 송사(宋詞) 풍의 긴 산문을 썼으며 문집으로 <악장집(樂章集)>이 있다.
유영 전시관 앞으로 펼쳐진 쑹지에는 말 그대로 송나라를 재현한 거리다. 다양한 기념품들과 우이산 특산인 차 등을 판매한다.
따홍바오(大紅袍 대홍포)는 사실 우이산의 따홍파오라는 명차도 있지만, 황제의 차를 생산하는 위차위안(御茶園), 바위에서 자라는 암차(岩茶) 등은 중국 차를 공부하는 이들에게 가장 호기심의 대상이 되는 곳이다.

바위 사이로 난 벼랑 같은 길을 타고 20분쯤 걷는데 옆에는 옛 선인들이 남긴 글씨들이 붉게 치장되어 발길을 잡는다. 다시 작은 언덕을 넘어가면 따홍파오가 나타난다. 따홍파오는 한 바위에서 자라는 두 대에 걸친 차나무들을 말한다. 바위 아래에도 후손 같은 차나무들이 있지만 바위에 있는 앞대의 명성을 따를 수 없다.
선학(仙鶴)이 멀리 봉래섬(蓬萊島)에서 종자를 가져와 이 벼랑이 심었다는 전설과 천심사(天心寺)의 스님이 이 찻잎으로 황제의 병을 치료해 황제가 붉은 가사(紅袍)를 선물했는데, 이후 붉은색의 차 성분을 띠게 됐다는 말이 있다.
그런 말이야 전설일 것이고 보아 하니 뒤에 있는 바위가 붉은색 성분을 머금은 것 같은데, 그곳에 뿌리를 박고 자라서 차를 우리면 붉은색을 띠는 것 같다. 차 중에서 성인으로 불리는 이 차는 반 정도 발효시킨 우롱차 계열인데, 따홍파오에서 무성생식시킨 차를 따홍파오라고 부른다.
좋은 차들은 사실 대만이나 홍콩의 차 애호가들이 대부분 구입해 간다. 특히 따홍파오는 이제 보호 차나무로 지정되어 차 수확을 전혀 못하게 되어 있다. 때문에 2007년 5월에 마지막으로 찻잎을 채취했는데 그 마지막 찻잎은 중국 국가발물관에 전시될 예정이다.
톈요우펑(天遊峰 천유봉)은 우이산에서 가장 상징적인 봉오리다. 해발 410m의 높지 않은 산이지만 산 전체가 바위고 한쪽이 벼랑이어서 독특한 모습을 자랑한다. 위에 올라서면 우이산의 선경이 펼쳐진다.

서하객도 “어찌 이곳에 와 구곡의 승경을 보지 않고, 이 봉이 제일이라 하랴”(其不臨溪而能盡九曲之勝,此峰故第一也)고 말했다. 정상을 오른 후에는 가파른 바윗길보다는 뒤로 난 등산로를 따라 내려오는 것도 좋다. 이 길은 과거 장쩨스(장개석)가 방문했을 때 가마를 타고 올라오기 위해 급히 닦은 길이라고 한다. 올라오는 길과 달리 완만한 편이어서 가마를 타고 올 만도 했다.
주시지니엔관(朱熹紀念館 주희기념관)는 우리 유학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주희가 가장 오랫동안 머물던 곳이 우이산이다. 지우취시 중간으로 난 다리를 지나서, 톈요우펑으로 가다 보면 오른쪽에 주시지니엔관으로 가는 길이 있다.

이곳은 주시위앤(朱熹園)으로 불린다. 주희(朱熹 1130~1200)는 조선시대 우리 학단에서 절대적인 인물이었다. 그 주희의 가장 중요한 활동 범위가 우이산이어서 우리 조상들도 우이산에 대한 흠모가 대단했다.
사실 다녀와 본 적이 있는 사람이 거의 없었으면서도 수많은 서화(書畵)에 우이산이 등장한다. 주희와 같은 제목의 ‘무이구곡가’를 퇴계 이황이 썼고, 역시 비슷한 생각에서 율곡도 ‘고산구곡가’를 지었다. 주희가 머문 ‘무이정사’나 우이산의 봉우리에서 따온 암자들이 많다.
퇴계의 경우 이 무이구곡가의 전계에 따라 수양이나 학문의 단계를 말한다는 논리를 펴기도 했는데, 이럴 정도로 화제가 된 산이고, 우리 지식인들이 꼭 다녀가 보고 싶었던 산이다.
주시지니엔관은 그런 주희를 잘 설명한 곳이다. 전시장 안은 주희 시절에 강학했던 학당의 벽이 보존되어 있어 애틋한 감정을 준다. 주자학이 한국이나 일본 등에 끼친 영향도 설명되어 있다.
글/사진= 조창완 여행 작가, 중국자본시장연구회 부회장
BEST 뉴스
-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배리어프리’는 비용이 아닌 투자다
디지털 전환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생존 전략이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시행하는 '2025년 소상공인 스마트상점 기술보급사업'은 소상공인들에게 현실적 희망을 주고 있다. 인건비 상승과 소비 패턴 변화 속에서 무인화·자동화는 피할 수 없는 흐름이다. 최근 경쟁력이 떨어지는 소상공인에게 다양한 스마트 기술을 ... -
병원동행 서비스, 돌봄 공백 채울 실효적 대안이다
초고령사회로 접어든 한국에서, 노인복지의 사각지대가 점점 확대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병원 동행’ 문제는 그동안 충분히 주목받지 못했지만, 실상 고령자 개인은 물론 가족과 지역사회 전체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대표적인 돌봄 공백이다. 고령자는 만성질환을 동반한 정기적인 병원 방문이 필수적이다.&n... -
“인건비·임대료에 막힌 소상공인, 해결책 절실하다”
우리 주변에는 작은 가게들, 자영업자들, 그리고 1인 혹은 가족이 운영하는 소상공인들이 셀 수 없이 많다. 그러나 이들이 겪는 어려움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거나, 알면서도 쉽게 해결책을 마련해주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이들의 공통적인 문제는 대부분 ‘자금난’을 겪는다는 점이다. 인건비, 원자재값,... -
[신박한 컨설팅] 작은 그림자가 키우는 큰 성공…소상공인의 길
창업을 준비하는 이들이 가장 먼저 품는 바람은 단순하다. '내 가게가 성공하면 얼마나 좋을까.' 그러나 현실은 녹록지 않다. 수많은 소상공인들이 실패와 좌절을 겪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는 작은 출발에서 큰 성공으로 나아간다. 무엇이 차이를 만드는가. 답은 의외로 단순하다. 작은 것을 소홀히 하지... -
[이호준의 문화 Zip] 조지아에서 들려온 실망의 노래
‘Georgia On My Mind’ 최근 한국 기업들을 겨냥한 미국 이민국의 대규모 단속 소식은 우리 사회에 씁쓸한 울림을 남겼습니다. 수십조원이 투자된 현장에서 수백 명의 한국인이 체포되면서, 조지아는 ‘비애의 땅’으로 기억되는 아이러니한 현실을 드러냈습니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법 집행을 넘어, 우리 시대가 직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