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진행된 2022 에델만 신뢰도 지표 조사의 한국 결과에 따르면 미디어, 정부, 사회 지도층을 향한 불신은 더욱 심화됐고, 특히 코로나19 및 사회 전반의 AI, 자동화 기술 발전으로 실직에 대한 두려움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내 기관별 신뢰율은 NGO 48%(-3%p), 기업 43%(-4%p), 정부 42%(-8%p), 미디어 33%(-7%p) 등으로 전년 대비 하락세를 나타내 대부분의 기관이 ‘불신의 영역’(신뢰도 49% 이하)에 진입했다. 2020년 5월 조사에서 가장 높은 신뢰를 기록했던 정부는 2년 만에 67%에서 25%p 하락했다.
사회 분열을 초래하는 기관에 대한 질문에 미디어(58%)와 정부(49%)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검색 엔진, 전통 미디어, 소셜 미디어, 그리고 브랜드 채널 등을 포함한 여러 정보 제공 채널들의 신뢰도 하락 이유로는 가짜뉴스에 대한 두려움이 꼽혔다. 응답자의 76%는 ‘잘못된 정보나 가짜뉴스가 무기로 사용되는 것이 우려된다’는 말에 공감했다. 이는 전년 대비 2%p 상승한 수치이다.
기업, NGO, 정부, 미디어 중 리더 역할을 수행하며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관으로 평가된 곳은 기업(62%), NGO(55%), 정부(49%), 그리고 미디어(45%) 순이었다. 아울러 결과에 도달하는 계획을 성공적으로 실행할 능력을 갖춘 기관은 기업(70%), NGO(54%), 정부(47%), 그리고 미디어(40%)였다.
응답자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사회적 문제들 중 실직에 대한 두려움(88%)이 가장 높았고 기후변화(76%), 해킹 혹은 사이버 공격(70%) 등이 사회 전반의 신뢰도 하락에 영향을 끼쳤다.
신뢰도를 묻는 질문에는 과학자(70%)와 직장동료(64%)가 가장 신뢰받는 대상이었고 국가 보건 당국(56%), 내가 속한 회사의 최고경영자(51%), 자국 국민(51%)이 중립적인 신뢰도를 보였다. 그 밖에 기업 최고경영자(45%), 정부 지도자(35%), 그리고 기자(23%)를 불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71%의 응답자들은 사회공헌활동을 통해 기업과 최고경영자는 변화의 표상이 돼야 한다고 생각했다.
최고경영자가 해결해주기를 강하게 기대하고 있는 사회적 이슈들로는 △일자리 및 경제 문제(84%) △기술 및 자동화 시스템(83%) △지구 온난화와 기후 변화 문제(82%)가 있었다.
에델만 코리아 장성빈 대표는 “기업의 사회적 역할은 계속되며 사람들은 기업에 더 많은 리더십을 원하고 있기 때문에 리더십은 단기적 이익보다는 장기적 사고를 기반으로 분열을 넘는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