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7(금)
 

미국이 물가 상승 분위기로 인해 또 기준금리를 올렸다.


Screenshot 2023-05-04 at 07.54.38.JPG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사진=AP/연합뉴스

 

다만 더이상 금리인상을 올리기 힘들다는 분위기 속에 다음 달 중순 예정된 차기 금리 결정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하겠다는 복선은 깔았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3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후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린다고 밝혔다.


다소 완만해지고는 있지만 쉽사리 꺾이지 않는 인플레이션에 3차례 연속 '베이비스텝'(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을 단행했다.


이에 따라 현재 4.75∼5.00%인 미국 기준금리는 5.00∼5.25%로 올랐다. 이번 인상으로 연준이 작년 3월 이후 10회 연속으로 금리를 올리면서 미국의 기준금리는 2007년 이후 16년 만에 최고 수준에 이르게 됐다.


미 기준금리가 5.25%까지 오르면서 한국과의 금리 차도 최고 1.75% 포인트로 역대 가장 큰 격차를 벌리며 자본 유출 등에 따른 부작용이 우려된다.


지난달 금리를 동결한 한국은행은 오는 25일 예정된 상반기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어떻게 결정할 지 고민이 깊어졌다. 


미 연준은 기준금리 인상 배경에 대해 "경제 활동은 1분기에 완만한 속도로 확대됐다"면서 "최근 몇 달간 일자리 증가는 견고했고, 실업률은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가계와 기업에 대한 엄격한 신용 상황은 경제활동, 고용, 인플레이션에 부담을 줄 가능성이 있고, 그 영향의 정도는 여전히 불확실하다"며 "연준은 인플레이션 위험에 상당히 주의하고 있다"고 금리인상 배경을 밝혔다.


일부 은행 파산으로 인한 금융시장 불안과 관련해선 "미국 은행 시스템은 건전하고 탄력적"이라며 신뢰를 보냈다.


앞서 연준은 작년 3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면서 2020년 3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유지한 제로 금리 시대를 마감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공급망 붕괴 여파 등으로 물가가 급상승하자 작년 5월 0.5%포인트 올린 데 이어 6월, 7월, 9월, 11월에 4연속 '자이언트 스텝'(한 번에 금리를 0.75%포인트 인상)이란 초강수를 두면서 인플레이션 잡기에 총력을 기울였다.


이후 물가 상승세가 둔화할 조짐을 보이자 작년 12월 0.50%포인트, 올해 2월과 3월 각각 0.25%포인트 올리는 등 인상 폭을 줄이면서 속도 조절에 나섰다.


이날 금리인상 발표는 금리인상에 따른 경기침체 우려에도 인플레이션 대응이 최우선 과제라는 연준의 인식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한미 간 기준금리 차는 1.50∼1.75%포인트로 더 벌어졌다. 역대 최대 격차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미국의 지속적인 금리인상에도 가장 최근인 지난달 기준금리를 동결(3.50%)하면서 미국과 22년 만에 가장 큰 금리 격차를 유지했는데, 이번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한미 기준금리 차이는 가장 크게 벌어졌다.


한미 금리차가 벌어질수록 수익률을 좇아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가고 원화 가치가 떨어질(원/달러 환율 상승) 가능성이 더 커져 경제 불안이 현실화될 수 있다. 미국 금리가 한국 금리보다 높을 경우 국내에 있던 달러가 해외로 빠져나갈 가능서이 크다. 미국 금리가 높은데 굳이 한국에 달러를 저축할 이유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외화가 유출되면 외국 자본의 국내 투자가 줄어들고 이로 인해 주식시장은 하락세에 접어들게 경제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 

전체댓글 0

  • 76262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美 기준금리 인상으로 한미 금리차 역대 최대...外 자본 유출 우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