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업자, 상권·입지 교육 가장 원해
장기 불경기에 다양한 사회적 변수들이 겹치면서 국내를 비롯해 세계 경제가 침체기인 현재. 국내 서민경제의 주축인 자영업 시장의 어려움은 가속화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창업에 대한 조사를 한 흥미로운 분석물이 나왔다.
프랜차이즈산업연구원이 2019년에 창업박람회 등에 참관한 예비창업자 500명(남성 345명, 여성 15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다. 예비창업자의 환경과 창업에 대한 의식조사다.
본지를 시리즈로 이를 게재해 프랜차이즈를 포함한 자영업 시장의 현주소를 짚어봤다.
예비창업자의 창업정보 수집경로를 조사한 결과 ‘창업관련 박람회 또는 설명회’가 39.9%로 가장 많았다.
다음은 인터넷(34.0%), 창업한 친구나 지인(10.0%), 신문·방송·잡지의 광고(7.8%), 신문·방송·잡지의 기사(5.6%) 순이었다.
특이한 점은 20대의 경우 인터넷과 창업한 지인을 통해 정보를 수집한다는 반응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은 편이라는 점이다.
30대부터 60대 이상까지는 창업관련 박람회나 설명회를 통해 창업정소 수집을 한다는 반응이 40%를 넘고 인터넷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305대에서 20%대로 줄어든 반면 20대는 인터넷이 38.9%로 창업박람회나 설명회(37.8%)보다 높았다.
창업한 지인을 통한 정보수집도 14.4%로 다른 연령대가 10% 미만인 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창업정보 탐색시 중요하게 살피는 요소에 대해서는 업종 수익률이 26.6%로 가장 높았다. 유망아이템(25.1%), 업종트렌드(24.8%), 창업성공사례(14.3%), 분쟁사례(5.4%), 가맹점 모집공고(2.2%) 순이었다.
창업관련 교육 유무에 대해서는 교육 경험이 없는 예비창업자가 71.1%로 조사됐다.
교육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28.9%에 불과했다. 교육을 받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창업교육 관련 정보가 부족해서’가 31.8%로 가장 많았다.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26.6%), 실질적 도움이 되지 않을 것 같아서(16.5%), 필요한 창업교육이 없어서(13.1%), 교육비용이 부담돼서(11.1%) 등이 뒤를 이었다.
이에 대해 윤인철 광주대학교 국제물류무역학과 교수는 “정부가 자영업자를 위한 세제혜택, 자금지원 등에만 주력할 게 아니라 자영업의 성공적 안착을 위한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더 인식해야 한다”라며 “60% 정도의 예비창업자들이 실질적인 교육을 원하고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렇다면 예비창업자들은 어떤 교육을 원할까. 창업전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주제의 1순위을 조사한 결과 ‘상권 및 입지분석 방법’이 42.5%로 가장 많았다. 다음이 업종 및 아이템 선정방법(16.7%), 점포 마케팅 전략(15.0%), 가맹점 창업전략(11.6%), 인허가 절차 및 관련 법률(8.9%), 개인사업자 관련 세무교육(4.7%) 순이었다.
BEST 뉴스
-
[신박사의 신박한컨설팅] 소상공인의 지속가능한 디지털 전환, 기술보다 중요한 것들
소상공인 사업장의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니라 생존의 문제다. 요즘 거리의 가게를 보면, 무인결제기와 스마트미러, 키오스크가 낯설지 않다. 최근 정부가 추진하는 스마트상점 기술보급사업은 초기 성과 면에서 눈에 띄는 변화를 만들어냈다. 그러나 가게 문을 지키는 소상공인들은 이렇게 묻는다. ‘이 기술... -
[신박사의 신박한 컨설팅] 도시재생사업, 낡은 공간을 넘어 ‘삶의 플랫폼’으로
한때 활기가 넘쳤던 골목과 시장, 공장지대가 지금은 인구 감소와 경기 침체로 활력을 잃고 있다. 도심 공동화와 지방소멸의 그림자는 이미 우리 생활 곳곳으로 스며들었다. 도시재생사업은 이러한 쇠퇴한 지역을 다시 살리는 가장 현실적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단순한 건물 보수나 미관 개... -
[이상헌의 성공창업 경제학] 민생회복지원금 후광효과 지속하려면…
정부가 경기 침체와 서민 경제의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해 추진한 ‘민생회복지원금’ 정책은 당초 국민들의 큰 기대를 모았다. 코로나19 이후 급격히 위축된 소비심리를 회복하고 내수를 진작시켜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숨통을 틔워주겠다는 목적이었다. 그러나 지원금 소비가 마무리되는 지금, 그 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