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1(토)
 

질염은 여성들이 흔히 걸리는 감기같은 병으로, 정확하게 진단하고 치료를 하면 완벽하게 나을 수 있다. 현미경으로 검사한 뒤, 처방된 약을 먹으면 되기 때문에 치료 과정 역시 간편하다. 그러나 환자가 처방전 없이 임의대로 약을 먹으면 만성이 되어 복막염이 될 수 있고, 영구적인 불임의 원인도 될 수 있기 때문에 초기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질염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트리코모나스 질염은 95% 이상 성관계로 전염된다. 성병으로 분류되어 남편도 함께 치료받아야 하는 병이기도 하다. 여성만 치료해서는 낫지 않기 때문에 남편에게는 트리코모나스 병균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함께 치료받는 것이 중요하다. 여성에게 질염이 발견되었을 때는 일주일 정도는 성관계 시 콘돔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이다.

 

 

 

 

트리코모나스 질염 다음으로 많이 나타나는 것이 칸디다성 질염이다. 무좀균과 비슷한 칸디다 알비칸스라는 곰팡이균에 의한 것으로, 하얀 냉과 함께 가려움증이 동반된다. 남편과 함께 치료받지 않아도 되지만 재발하는 경우에는 함께 약을 복용하는 것이 좋다. 또 약물 복용과 함께 꾸준히 질정을 삽입하면 쉽게 치료되지만, 재발 빈도가 높으므로 전체적인 면역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여러 가지 세균에 의해 일어나는 세균성 질염도 흔하다. 간단한 외래 균검사로 진단이 가능하지만, 세균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진단 없이 약을 복용하면 만성 염증이 되어 불임의 가장 큰 원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만성 염증이 되면 불임을 비롯해 복막염, 하복부 및 허리 통증 등이 나타나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여성이 세균성 질염에 걸린 경우, 남편 역시 비뇨기과에서 진단을 받은 뒤 약을 복용해야 한다.

 

 

 

 

질염은 검진 후 치료를 받으면 100% 완치되는 병이다. 간혹 쉽게 생각하여 민간요법이나 잘못된 방법으로 치료하면 합병증으로 인해 평생 고생할 수도 있다. 증상이 없어도 정기적인 자궁암 검사와 함께 질염 검사를 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호산산부인과 병원 대표 방장훈(사진) 원장은 질염을 막기 위해평소 질 분비물 체크하기, 성기 부위를 청결하고 건조하게 하기, 꽉 끼는 옷 피하기등을 강조했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남편도 함께 치료해야 하는 여성질환 “질염”!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