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7(금)
 
한국지엠(대표 세르지오 호샤)이 ‘소형 SUV’를 표방하고 출시한 트랙스를 21일 제주에서 시승했다.

맑은 날씨의 제주공항에 줄지어 시승을 기다리고 있는 트렉스로부터 ‘잘 생기고 귀엽다’는 인상을 받았다. 아담한 사이즈이지만 요소요소 근육질 라인들이 돋보여 ‘작지만 SUV답다’는 데에 토를 달기 어려웠다.

그런데, 막상 시승을 하면서 실망감을 떨쳐내기 어려웠다. 한마디로 트렉스는 ‘표리부동’(表裏不同). 겉과 속이 달랐다.

차량의 디자인과 주행성능은 가격 대비 나쁘지 않았지만  ‘과연 트렉스가 SUV가 맞나?’는 의문이 들었다.

SUV는 험준한 도로에서 주행 능력이 뛰어나 각종 스포츠 활동에 적합한 스포츠형 다목적 차량을 일컫는다. SUV는 악천후에서도 쉽게 달릴 수 있고, 차량을 개조하지 않고도 비포장 도로와 같은 험한 길을 달리는 능력이 뛰어나야 한다. 그래서 힘 좋은 디젤엔진과 앞뒤 바퀴에 동력이 전달되는 사륜구동 등이 SUV에 채택되곤 한다.

하지만  트렉스는 친환경 차세대 엔진으로 주목받고 있는 디젤엔진을 뒤로 하고 1.4 리터 가솔린 엔진을 내세웠다. 사륜구동 모델도 준비하지 않았다. 한국지엠 측은 이에 대해 “2.0ℓ 디젤 엔진을 장착한 동급 SUV 차량 대비 연간 최대 약 27만원의 자동차세 절감효과까지 볼 수 있다”고만 설명했다. 그러나 이는 SUV의 본질과는 동 떨어진 변명이다.

시승을 마친 직후 열린 간담회에서 ‘트렌스가 SUV인 이유를 설명해달라’는 한 기자의 질문이 나왔다. 이에 한국지엠 측은 “대담한 디자인과 운전 시 높은 시야 확보로 자신감 있는 주행을 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SUV가 갖는 본질적인 파워나 4륜 구동으로 경험할수 있는 오프로드나 눈길 운전에 대한 안전성은 언급을 회피했다. 한국지엠 측의 답변대로라면 기아차 레이도 SUV여야 한다.

한편 한국지엠은 “트렉스가 공간측면에서 공간활용도가 높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기자들의 반응은 시큰둥했다. 좌석은 좁고 실내 인테리어는 조악했다. 디스플레이도 운전자를 배려하는데 2% 부족했다. 우선 디테일에서 실패다. 이는 지엠의 한계로 자주 지적받는 부분이다. 운전석 윈도는 자동이었지만 중간 멈춤조작이 원활하지 않았고 투박한 마감재는 옛날 ‘대우스타일∼’ 만도 못했다.

 특히 기어박스를 덮고 있는 커버는 손톱에도 쉽게 긁힐 정도로 표면이 부실했다. USB 단자는 조수석 앞 소형 수납 공간안에 숨겨져 있었다. 위트 있는 설정으로 보기엔 센스가 없는 설정이다. 만약 이 단자에 스마트폰 등을 충전하려면 난감해진다. 커버 덮개에 여유 구멍이 전혀 없기 때문에 선이 눌려 파손되거나 충전 내내 수납공간 뚜껑을 열어둬야 한다. 혹시라도 있어서는 안되겠지만 열린 상태에서 차량 충돌이 일어난다면 조수석 탑승자는 큰 부상을 당할 소지가 있다.

 음질이 ‘빵빵하다’고 정평난 보스 오디오 시스템은 장착하고도 제 기능을 발휘 못한다. 보스 오디오 시스템을 CD로 감상할수는 없다는 건 무척 아쉽다. 트렉스에 CD플레이어가 없다고 해서 불법다운로드 받은 MP3 파일을 USB에 담아서는 더욱 안될 일이다.
‘값비싼 차량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대체하겠다’고 해서 채택한 브링고 내비게이션 앱은 같은 목적지를 투고 타사 네이게이션 맵과 다르게 터치감이 떨어지고 입력한 목적지마저 엉뚱한 경로를 제시해 연료 낭비만 야기했다.

1940만∼2289만원대의 가격 대비 디자인과 성능으로 보면 쉐보레 트랙스는 한편으론 합격점을 받을수 있는 차다. 더구나 트렉스는 우리 부평공장의 ‘대한민국’ 직원들이 공들여 만든 차가 아닌가.

걱정되는 점은 한국지엠 운영진의 자세다. 회사가 판매에 눈이 멀어 가격 경쟁력만을 고집하다가 운전자의 감성을 포기한 건 아닌가 하는 점이다. 또한, 아직 한국 소비자를 이해하지 못한 외국인 한국지엠 경영진들이 엉뚱한 포지셔닝과 무리한 홍보 마케팅만으로 트렉스의 앞길에 재를 뿌린 건 아닌지 우려된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시승기)한국지엠 트렉스 ‘무늬만 SUV?’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