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내에서 흥행 가도를 달리고 있는 영화 '하얼빈'이 미국, 일본, 프랑스, 호주 등 전 세계 117개 국에 판매됐다는 소식이 전해져 화제가 되고 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이는 한국 문화 콘텐츠가 전 세계에 널리 퍼지면서 이제는 세계인들이 한국 역사에도 관심을 갖게 됐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서 교수는 "일본에 판매가 됐다는 점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3년 전 안중근 의사 이야기를 다룬 뮤지컬 영화 '영웅'이 개봉된 이후, 일본측 SNS 상에서는 안중근을 '테러리스트'로 간주하며 큰 논란이 된 바 있다.
그 당시 일본의 많은 누리꾼은 "안중근은 테러리스트다", "테러리스트를 영화화 한 한국", "이 영화를 근거로 한국과의 국교단절" 등 어이없는 주장을 펼쳤다.
이에 대해 서 교수는 "일본 정부에서 올바른 역사교육을 시행하지 않았기에 벌어진 결과다"라고 분석했다.
특히 "일본의 전 총리를 지낸 스가 요시히데는 지난 2014년 안중근에 대해 "일본의 초대 총리를 살해, 사형판결을 받은 테러리스트"라고 말해 많은 논란을 일으킨 일을 봐도 알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영화 '하얼빈'이 전 세계에서도 흥행을 하여 한국 및 동북아 역사를 제대로 알리는데 큰 역할을 해 주길 진심으로 바란다"고 전했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다양한 화폐 상장" 업비트, 올 4·5월 유저 관심도·호감도 1위
최근 2개월간 국내 5대 가상자산거래소 중 온라인에서 가장 높은 관심도를 차지한 곳은 '업비트'로 조사됐다. 지난 1~2월 조사에 이어 1위를 수성했다. 인포그래픽=데이터앤리서치 빗썸과 코인원이 뒤를 이었다. 12일 데이터앤리서치는 뉴스,커뮤니티,블로그,카페,트... -
“AI, 과제부터 고민상담까지”… 10대 85%가 ‘챗GPT 세대’
국내 청소년 5명 중 4명은 인공지능(AI)을 일상에서 자주 활용하고 있으며, 학업뿐 아니라 감정 상담에도 AI를 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복 브랜드 엘리트학생복이 지난 5월 중·고등학생 24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AI 활용 실태’ 설문 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85%가 챗봇 대화, 이미지 생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