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뉴스를 단속하기 위한 명분하에 검찰 수사 관련 오보를 낸 언론사 기자의 검찰 출입을 막겠다는 법무부의 ‘형사사건 공개금지 등에 관한 규정’ 훈령은 취재와 보도의 언론 기능을 통제하려는 의도가 숨어있다.

특히, 검사와 수사관을 기자가 접촉하는 것을 막겠다는 것은 시대를 역행한 발상이다. 검찰 공보관만 만날 수 있고 수사와 관련된 관계자를 접촉하지 못하게 하는 것은 언론의 자유와 국민의 알권리를 부정하는 일이다.
위정자의 권력형 비리가 기사화되면 당사자들은 오리발을 내민다. 순순히 자백하듯 기사 내용이 맞다고 인정하는 사례는 드물다. 정부가 스스로에게 불리한 보도를 오보라고 판단하면 해당 언론사의 기사는 잘못된 기사가 되고 취재한 기자는 검찰 출입을 못하게 된다. 기자의 눈과 귀를 틀어막는 행위다.
최근에 불거진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인사청문회 때 법무부가 오보라고 밝힌 내용이 검찰 수사에서 사실로 밝혀졌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 본인은 5촌 조카가 사모펀드 운영에 관여한 적이 없다고 했지만 사실과 달랐으며 박근혜 정부 시절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의 처가 부동산 매매 관련 의혹도 당사자와 청와대는 오보라고 했다. 하지만 아니었다.
검찰의 발표만 받아쓰기하는 언론은 보도자료 베껴쓰는 것밖에 안된다. 언론이 권력을 감시하는 기능을 잘라버리는 행위다. 정부가 거짓말하는 것을 감시할 언론 본연의 기능을 마비시키게된다. 오보를 핑계로 출입을 통제하고 검사와 수사관과의 접촉을막는 것은 군부독재시절에도 없었던 언론통제 행위다.
문재인 대통령의 검찰 개혁 의지와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의 가짜뉴스 단속이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사태를 겪으면서 엉뚱한 결과를 낳은 셈이다. 권력형 비리를 감시하는 기능을 통제하는 행위는 결국 권력를 쥔 사람의 입맛대로 사건을 축소하거나 은폐할 수 있게 되며 그 폐단은 결국 국민에게 돌아오게 되어 있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배리어프리’는 비용이 아닌 투자다
디지털 전환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생존 전략이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시행하는 '2025년 소상공인 스마트상점 기술보급사업'은 소상공인들에게 현실적 희망을 주고 있다. 인건비 상승과 소비 패턴 변화 속에서 무인화·자동화는 피할 수 없는 흐름이다. 최근 경쟁력이 떨어지는 소상공인에게 다양한 스마트 기술을 ... -
병원동행 서비스, 돌봄 공백 채울 실효적 대안이다
초고령사회로 접어든 한국에서, 노인복지의 사각지대가 점점 확대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병원 동행’ 문제는 그동안 충분히 주목받지 못했지만, 실상 고령자 개인은 물론 가족과 지역사회 전체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대표적인 돌봄 공백이다. 고령자는 만성질환을 동반한 정기적인 병원 방문이 필수적이다.&n... -
[신박한 컨설팅] 상권 활성화 정책의 재발견
정부는 지역 상권의 활성화를 위해 상권활성화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상권의 유형화 작업을 병행하고 있다. 그러나 과연 현재의 일률적 지원 정책이 상권의 특수성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한 깊은 성찰이 요구된다. 이른 전통시장지원사업의 사례에서도 명확히 드러난다. 예를 들어, 골목형... -
“인건비·임대료에 막힌 소상공인, 해결책 절실하다”
우리 주변에는 작은 가게들, 자영업자들, 그리고 1인 혹은 가족이 운영하는 소상공인들이 셀 수 없이 많다. 그러나 이들이 겪는 어려움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거나, 알면서도 쉽게 해결책을 마련해주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이들의 공통적인 문제는 대부분 ‘자금난’을 겪는다는 점이다. 인건비, 원자재값,... -
[신박한 컨설팅] 작은 그림자가 키우는 큰 성공…소상공인의 길
창업을 준비하는 이들이 가장 먼저 품는 바람은 단순하다. '내 가게가 성공하면 얼마나 좋을까.' 그러나 현실은 녹록지 않다. 수많은 소상공인들이 실패와 좌절을 겪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는 작은 출발에서 큰 성공으로 나아간다. 무엇이 차이를 만드는가. 답은 의외로 단순하다. 작은 것을 소홀히 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