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전문점에서 머그컵에 음료를 마시다 남으면 일회용 컵으로 바꿔준다. 하지만, 앞으로는 일회용 컵에 마시던 음료를 담아가려면 추가 비용을 지불하게 생겼다.
정부는 지난 22일 플라스틱 및 종이 재질 일회용품을 줄이기 위한 로드맵을 발표했다. 환경부가 발표한 일회용품 줄이기 계획에는 배달 음식의 일회용 젓가락, 장례식장의 일회용 종이 접시와 컵 규제 대상이 된다. 일회용품을 식당 등 매장 안에서는 사용할 수 없도록 규제하고 백화점 쇼핑백도 사용을 금지한다는 내용이다.
일상 생활에 밀착된 규제인만큼 의견이 분분할 수 있지만, 미래 세대를 위한 큰 틀에서는 마냥 반대할 수 없는 정책이기도 하다. 다만, 시기와 단계, 규제 대상에 대해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구체적인 정책이 마련됐으면 한다.
정부의 발표에 따르면 2021년부터는 종이컵, 플라스틱 컵, 빨대, 젓는 용도의 플라스틱 막대 등이 사라진다. 장례식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일회용 접시와 컵은 더이상 쓸 수가 없다. 음식 배달에도 일회용품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사용하던 것을 사용하지 말라고 하면 불편이 따를 수 밖에 없다.
불편이 따르더라도 환경 오염 문제를 조금이라도 해결하기 위해선 따라야 마땅하다. 하지만, 그 문제 해결의 책임을 고스란히 일회용품 사용자와 자영업자에게 부담시키고 있다는 불만이 제기됐다. 소비자에게 일회용품을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는 규제가 아니라 텀블러 사용을 권장하면서 커피 값 인하 이벤트를 권장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장례식장의 경우에도 부담스럽다. 보건위생상 일회용품을 불가피하게 사용하다가 식기 등을 재활용할 경우 오히려 인건비 상승이 부담이 될 수도 있다. 누리꾼들은 일방적인 규제보다는 단계적 적용을 외친다. 예를 들어 스티로폼, 비닐 포장재나 재활용이 어려운 플라스틱 사용 자제와 과대 포장을 먼저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환경 문제는 불편함을 감수하고 해야 할 일이다. 단계적 적용이 가능하다면 중장기적인 로드맵을 가지고 국민을 설득했으면 한다. 일상의 편리함을 버리면서 불편함을 감수하더라도 뚜렷한 환경 보호의 목표를 서로 달성할 수 있도록 작은 것부터 적용하고 시작하는 것은 어떨까? 플라스틱 대신 재활용이 가능한 종이류의 일회용품으로 우선 바꾸고 단계적으로 일회용품을 줄여가는 것이 일상을 해치지 않는 혜안이 될 수 있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신박사의 신박한컨설팅] 소상공인의 지속가능한 디지털 전환, 기술보다 중요한 것들
소상공인 사업장의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니라 생존의 문제다. 요즘 거리의 가게를 보면, 무인결제기와 스마트미러, 키오스크가 낯설지 않다. 최근 정부가 추진하는 스마트상점 기술보급사업은 초기 성과 면에서 눈에 띄는 변화를 만들어냈다. 그러나 가게 문을 지키는 소상공인들은 이렇게 묻는다. ‘이 기술... -
[신박사의 신박한 컨설팅] 도시재생사업, 낡은 공간을 넘어 ‘삶의 플랫폼’으로
한때 활기가 넘쳤던 골목과 시장, 공장지대가 지금은 인구 감소와 경기 침체로 활력을 잃고 있다. 도심 공동화와 지방소멸의 그림자는 이미 우리 생활 곳곳으로 스며들었다. 도시재생사업은 이러한 쇠퇴한 지역을 다시 살리는 가장 현실적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단순한 건물 보수나 미관 개... -
[이상헌의 성공창업백서] 부동산과 창업, ‘공간경제’의 핵심 연결고리가 정답
창업은 흔히 ‘아이템’에서 시작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공간’에서 완성된다. 사업의 성패를 결정짓는 가장 큰 요인 중 하나가 바로 부동산이다. 상권 입지, 임대료, 유동인구, 공간 활용 구조 등 부동산 요소가 창업의 생존률을 좌우한다. 그만큼 부동산은 창업의 무대이자 진입장벽이며, 더 나아가 지... -
[신박사의 신박한컨설팅] 창업 생태계의 리셋이 필요하다
국내 자영업의 위기가 통계로 드러났다. 최근 국세청 자료에 따르면, 개인사업자 10명 중 7명이 월 100만원조차 벌지 못하고 있다. 심지어 ‘소득 0원’으로 신고한 사업장만 100만 곳을 넘어섰다. 자영업이 한국 경제의 절반을 지탱해 온 기반 산업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는 단순한 경기 침체가 아니라 경제 생태계 ... -
[이상헌의 성공창업 경제학] 민생회복지원금 후광효과 지속하려면…
정부가 경기 침체와 서민 경제의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해 추진한 ‘민생회복지원금’ 정책은 당초 국민들의 큰 기대를 모았다. 코로나19 이후 급격히 위축된 소비심리를 회복하고 내수를 진작시켜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숨통을 틔워주겠다는 목적이었다. 그러나 지원금 소비가 마무리되는 지금, 그 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