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슈머 인사이트(Consumer Insight)가 지난 1년간(’2023년 7월~2024년 6월) 직영 정비 사업소에서 애프터서비스(AS)를 받은 소비자 1만2216명에게 AS 프로세스별로 최우수 브랜드를 조사했다.

먼저 서비스 예약 과정에서는 온라인 예약 비율이 처음으로 30%에 도달했다. ‘온라인 예약은 2022년 19%에서 2024년 30%로 계속 증가 추세다.
이 가운데 수입차가 31%로 국산차21%보다 온라인 비율이 높고 상승 폭도도 컸다. 온라인 예약률이 가장 높은 브랜드는 테슬라(91%)였으며, 전화 예약률이 가장 높은 브랜드는 포르쉐(99%)였다.
렉서스는 첫 통화 예약 성공률이 88%로 2년 연속 1위를 기록했다. 국산차(52%)보다 수입차(68%)의 첫 통화 예약 성공률이 높은 점도 눈에 띈다.
전년 대비 평균 통화시도 횟수는 국산차(2.0→1.9회), 수입차(1.7→1.5회)로 모두 감소했다.
‘예약 후 입고 대기 기간’과 ‘입고 후 사전 상담 대기 시간’은 모두 수입차종이 양호했다.
입고 대기기간은 KG 모빌리티가 3.8일로 가장 짧아 평균(12.0일)의 3분의1 수준이었으며 사전 상담 대기 시간은 평균 9.9분 대비 토요타가 6.4분으로 가장 우수했다.
핵심 사항에 대한 설명은 푸조(Peugeot)가 가장 우수했다. 푸조는 ‘예상 정비 비용’, ‘문제의 원인 설명’, ‘리콜 차량 여부 확인/설명’에서 1위였다.
볼보는 전년에 이어 ‘예상 소요시간 안내’(86%)에서, 포르쉐는 ‘향후 진행될 정비/수리 내역 안내’(70%)와 ‘출고방법 안내’(33%)에서 1위였다.
‘정비상황 수시 확인’, ‘부품대기기간’, ‘정비/수리기간’에선 국산차가 수입차보다 우수했다.
KG 모빌리티는 ‘부품대기기간’(5.4일), ‘정비/수리기간’(4.2일)에서 가장 우수했으며 렉서스는 ‘당일 정비 완료율’(94%)에서 가장 좋은 반응을 얻었다.
고객 편의시설 구비율은 렉서스(96%)가 안내율은 링컨(52%)이 가장 우수했다.
특히 렉서스는 ‘부품수급 문제(지연 등) 경험률’이 6%로 평균(19%)의 3분의1에 불과했다.
‘정비결과 확인’ 과정의 6개 항목 모두 수입차가 국산차보다 양호했다. 렉서스는 ‘정비/수리 결과 불만 제기율’(6%), ‘동일문제 재발 경험률’(2%)이 가장 낮았고, 볼보는 ‘정비 후 문제 해결 여부 확인’(92%)에 가장 철저했다.
정비오류는 푸조, 과잉정비는 제네시스, 임의정비는 볼보가 가장 적었다.
1회 평균 ‘정비수리 비용’은 1년새 24%나 증가했다. 2022년 83만원, 2023년 90만원에서 올해 112만원으로 크게 상승했다.
수리비용은 여전히 수입차(123만원)가 국산차(62만원)의 2배에 달했다. 이 가운데 GM 코리아는 41만원으로 가장 저렴했다.
‘수리비 할인 경험’은 4명 중 1명(26%) 꼴이었다.국산차(23%)보다 수입차(26%)의 할인 경험률이 좀 더 높았고 GM 코리아 고객의 경험률이 37%로 가장 높았다.
출고과정 조사에서 무상 서비스 경험률은 62%였다. 무상 서비스 종류는 ‘공기압 체크/보충’(56%), ‘전체적인 차량/점검’(54%), ‘워셔액/냉각수 보충’(44%) 순이었다. 이 항목에선 혼다 고객 10명 중 8명이 무상서비스 경험율 가장 높았다.
하지만 많이 해주는 서비스와 받고 싶은 서비스의 차이는 컸다.
가장 많이 해주는 서비스 ‘공기압 체크’(56%)는 받고 싶은 서비스 중 최하위(3%)였고 ‘전체적인 차량 점검’(29%)을 많이 희망했는데 이 부문 경험률이 가장 높은 브랜드는 푸조(64%)였다.
AS 만족도(CSI)에 영향 큰 항목은 ‘같은 문제 재발’ 부분이었다.
‘동일 문제 재발’ 고객의 만족도(CSI) 평가는 639점(1000점 만점)으로 그렇지 않은 경우(840점)보다 200점 이상 낮아 차이가 가장 컸다.
그 다음은 ‘정비수리에 불만을 제기’한 고객(639점)과 그렇지 않은 고객(828점)의 차이(189점)였다.
‘고객 편의시설 구비’ 여부에 따른 만족도 차이(164점)도 매우 컸다. 그 다음은 ‘당일정비 완료 여부’(146점 차이), ‘부품 수급문제 경험 여부’(135점 차이)였다.
‘정비상황 수시 확인 가능 여부’에 따른 차이(134점)도 컸다. 고객의 ‘안락감’ 못잖게 ‘기다림’과 ‘궁금증’ 해소도 중요한 만족 요소로 작용했다.
컨슈머 인사이트 관계자는 "온라인 예약이 처음으로 30%를 돌파했지만 전화 예약(66%)이 여전히 다수를 차지했다. 통화 1회에 바로 예약한 고객의 만족도가 841점이었던 데 비해 2회 통화 시 761점, 3회 통화 시 701점, 4회 이상은 672점으로 뚝뚝 떨어졌다. 이는 서비스의 기본(전화 응대 등)이 중요함을 일깨워 주는 결과로, 특히 이 부분(첫 통화 예약 성공률)에서는 수입차(68%)보다 국산차(52%)의 분발이 필요해 보인다"고 밝혔다.
BEST 뉴스
-
[단독] 포스코이앤씨 폭행 사망 사건 재조명… “도덕성 추락의 끝은 어디인가”
지난 2022년 12월 포스코이앤씨의 공사현장에서 벌어진 폭행 사망 사건이 재조명되며 국민적 공분을 사고 있다. 최근 잇따른 사망사고에 책임을 지고 정희민 포스코이앤씨 대표가 5일 사의를 표명한 가운데, 조용히 묻혔던 ‘감리단 공무팀장 폭행치사 사건’은 단순한 사고가 아닌 예고된 비극이었다는 정황이 속속 드러... -
[단독] "LG전자, 직원 10명 중 4명 잘린다…초대형 희망퇴직"
LG전자가 대규모 감원에 돌입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LG전자 직원만 가입할 수 있는 폐쇄형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최근 이에 대한 구체적 내용을 담아 "기사화를 부탁한다"는 글이 올라왔다. 이 글의 작성자는 LG전자 소속을 인증한 LG전자 직원으로 추정된다는 점에서 신빙성 있는 자료로 분석된다. ... -
[단독] 반얀트리 계열 5성급 호텔이 불법노동자를…카시아 속초, 저품질 서비스 논란
5성급 호텔을 표방하고 나선 카시아 속초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서비스로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이와 같은 서비스의 배경엔 불법체류자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5성급 호텔의 명성에 미치지 못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유 중 하나로 풀이된다. 카시아 속초 전경 이미지=... -
DB그룹 경영권 향방 중대 고비…김남호 명예회장, 법률 자문 검토
DB그룹 2세인 김남호 명예회장이 두 달 전 회장직에서 물러난 데 이어 내년 3월 사내이사직까지 내려놓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본격적인 대응에 나설지 주목된다. 김남호 DB그룹 명예회장 사진=DB그룹 제공/연합 지난 6월 27일, DB그룹은 돌연 ... -
[단독] “백종원 믿었는데”…폐업 점주의 마지막 호소
경기도의 한 가맹점주가 폐업을 결심하며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에게 호소문을 남겼다. 이 점주는 창업 전부터 브랜드를 신뢰하며 큰 투자를 감행했지만, 본사의 무책임한 대응과 구조적인 문제로 극심한 운영난을 겪은 끝에 결국 가게 문을 닫는다고 밝혔다. 이미지출처=롤링... -
“출산 후 수혈 못 해 아내를 잃었다”…영주 A 병원 예고된 인재
지난 7월, 경북 영주시의 분만취약지 지원병원에서 출산 직후 산모가 과다출혈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해당 병원은 매년 수억 원의 국비·지방비를 지원받는 지역응급의료기관이었지만, 정작 응급 상황에서 사용 가능한 혈액조차 확보하지 못해 비극을 막지 못했다. 이 사고는 한 개인의 불운이 아니라 제도적 허점...